IT 정보통신

[fn 자율주행차 포럼] 서승우 서울대 교수 "자율주행차 도로 인프라·법·제도개선 논의할 때"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1.01 19:01

수정 2018.01.01 19:01

도심형 자율주행차 '스누버' 만든 서승우 서울대 교수
현재 여의도서 주행 테스트 돌발상황에 탄력적 대응
그 한계와 범위에 대한 사회적 합의 필요성 실감
"자율주행 기술 경쟁은 날로 치열해지고 있지만 도로 인프라나 법.제도 개선은 여전히 걸음마 단계다. 비보호 좌회전 등 인간에게 큰 문제가 되지 않았던 사안들이 소프트웨어(SW)로 프로그래밍되면서 더욱 엄격한 잣대로 쟁점화 되고 있다. 이 모든 사안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뤄져야, 그 합의에 근거한 알고리즘을 설계해 자율주행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다."

[fn 자율주행차 포럼] 서승우 서울대 교수 "자율주행차 도로 인프라·법·제도개선 논의할 때"

서울대 서승우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장.사진)는 파이낸셜뉴스가 지난해 12월29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국회의원 연구단체인 '4차산업혁명포럼'과 공동 개최한 'fn자율주행차포럼'을 통해 "도심 속 실증 주행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차와 인간 운전자가 함께 다니는 도로 인프라를 비롯해 자동차보험이나 법.제도를 어떻게 개선할지 논의할 시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즉 자율주행차가 어떤 규칙을 지키도록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사회적 컨센서스(consensus)'가 하루 빨리 이뤄져야 기술 및 서비스 상용화에 속도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가 지난 2015년 11월 첫 선을 보인 도심형 자율주행차 '스누버(SNUver)'는 업그레이드 과정을 거쳐 지난해 6월부터 서울 여의도 곳곳을 달리고 있다.
이르면 오는 3월 말부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자율주행차 시승도 진행할 예정이다. 현대차, 네이버, SK텔레콤 등이 개발한 자율주행차도 국토교통부로부터 임시운행허가를 받아 일반도로를 달리고 있지만 여의도처럼 수많은 차량과 사람이 복잡하게 오가는 도심을 자율주행 테스트하는 건 스누버가 국내 처음이다.

하지만 도심형 자율주행을 선도하는 만큼 애로사항도 많다.

서 교수는 "10년 동안 개발된 스누버가 서울대 관악캠퍼스를 나와 여의도를 달리다보니 각종 돌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면서 "국회 앞 신호등은 사람도 식별이 어려울 정도로 높은 위치에 있어 횡단보도 정지선을 넘어서기도 했다"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그는 "여의도 광장 쪽에선 횡단보도 끝에서 걸어오는 사람 대신 뒤에서 따라오는 차량을 배려해 횡단보도를 살짝 지나갔다가 보행자 우선을 위반했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즉 운전자가 주행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처하는 행위를 자율주행 알고리즘에 반영했더니 비난을 받았다는 것이다.

서 교수는 또 자율주행 기술적 진보와 맞물려 있는 투자 생태계가 미흡한 국내 실정도 지적했다.

현재 미국 실리콘밸리 중심부에 위치한 스탠포드 대학에서 연구년(안식년)을 보내고 있는 서 교수는 "포드가 인공지능(AI) 업체 '아르고'를 10억 달러에 인수하는 등 글로벌 완성차업계를 중심으로 수 조원 규모의 인수합병(M&A) 및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며 "특히 최근엔 정보기술(IT) 업체와 우버 등 차량공유서비스 회사를 비롯 UPS와 같은 물류.운송업체들도 M&A 등을 통해 자율주행산업에 뛰어들고 있다"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전통 완성차 업계는 미래 성장전략으로, IT 업체들은 AI 기술을 검증 및 실증하는 수단으로 자율주행에 접근하고 세계적 물류운송업체들도 첨단 서비스 구현을 위해 자율주행에 속속 합류하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과정에서 일반인들의 자율주행차에 대한 인식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 시민을 대상으로 2년마다 이뤄지는 '자율주행 수용성' 관련 설문조사에서 '직접 자율주행차를 구매해 이용하겠다'는 응답자가 4년 전 30%에서 최근 60%로 상승했다.
서 교수는 "미국에선 자율주행차를 통해 교통사고를 줄이고 노동의 질도 개선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