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펀드·채권·IB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로 올해 엔화 좀더 약세 방향으로 <국금센터>

장태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1.05 08:58

수정 2018.01.05 08:58

국제금융센터는 5일 "글로벌 통화정책을 감안할 때 올해 일본 엔화는 약세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센터는 다만 저평가 부담으로 엔화 약세는 완만하게 진행될 소지가 크다고 분석했다.

센터의 이상원, 황유선 연구원은 "BOJ와 연준 및 주요 중앙은행들 간 정책금리차가 확대되는 가운데 일은의 자산 규모는 거의 유일하게 일정한 증가세를 유지하면서 엔화 약세여건이 뚜렷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BOJ의 단기 정책금리가 -0.1%에 동결돼 있는 동안 연준의 금리 3회 인상시 연방기금금리는 2%를 상회하면서 대미 금리차가 2%p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원들은 또 "BOC는 2~3회, BOE는 1회 가량 금리를 올려 BOJ와의 정책금리차가 각각 180bp, 80bp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단 ECB의 경우 당분간 금리를 동결하면서 금리차 확대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자산매입과 관련해 BOJ가 2017년 평균수준의 월별 자산증가 규모(+¥4조)를 유지할 경우 전년동월대비 약 10%씩 증가한다고 밝혔다.
반면 연준은 현재 0%대 축소에서 2018년말 약 10%까지 축소할 수 있다.

ECB의 자산증가율은 2017년 상반기 30~40%→하반기 20~30%→2018년 상반기 10~20%→하반기 5~10%로 둔화돼 BOJ의 증가율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BOE는 당분간 양적완화에 의해 매입한 자산을 그대로 보유할 예정이므로 0% 내외를 유지할 것으로 봤다.

연구원들은 "미국이 일본보다 강한 경제성장 및 금리상승 모멘텀을 유지하면서 엔화약세 전망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골드만 삭스의 Financial Condition Index를 기준으로 할 때 일본의 금융시장 여건 지수는 2016년말 대비 0.5% 하락하면서 2015년 12월 이후 가장 완화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연구원들은 다만 "시장참가자들 사이에서의 엔화 약세기대는 장기간 유지되고 있으나 저평가 폭이 커 적극적으로 추가 매도포지션을 구축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2018년 6월말 기준, 해외 IB들의 엔화 환율 전망치는 114.50엔으로 현재 2일 대비 1.7% 절하된 수준을 예상한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은행은 수익률곡선 및 자산매입 규모를 유지했던 예년과 달리 일부 통화정책 수단을 조정하면서 자산매입 부담 등을 경감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연구원들은 "구로다 총재는 12월 21일 BOJ 금융정책결정회의 등을 통해 현재 장단기 목표금리 수준은 적절하며 리버설 레이트(reversal rate) 발언이 통화정책 조정을 시사하는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다"고 지적했다.

리버설 레이트는 금리하락이 과도할 경우 예대금리차 축소 등에 따른 은행의 재무 건전성 약화로 금융중개기능이 저하돼 정책의도와 반대로 통화긴축적 효과를 유발하게 되는 금리수준을 말한다.

구로다 총재는 리버설 레이트가 흥미로운 학술적 연구임을 강조하면서도 현재의 금융중개 기능이 손상된 것은 아니라고 언급 하면서 긴축 가능성을 일축한 바 있다.

연구원들은 "BOJ는 미국 방식의 통화정책 정상화 절차를 그대로 따라가지 않고 수익률곡선 조정 및 Stealth Tapering 등 정책수단을 신축적으로 조정하는 방식으로 정책운용 형태를 미세조정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목표 장기금리의 대상만기를 10년→5년으로 단기화하거나 수익률곡선 기울기를 조정할 가능성이 있으며, 시장이 이를 긴축의 신호로 받아들이지 않도록 '정책 조정'이 아닌 '기술적 변화'임을 강조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구사할 소지가 있다고 봤다.


자산매입의 경우 이미 공개적으로 목표 규모를 조정하지 않은 채로 예년 수준의 절반 정도로 축소(stealth tapering)한 상태이며 2018년에는 수익률 곡선의 형태 변경 여부에 따라 추가 축소도 가능하다고 봤다.

BOJ의 국채보유잔액 증가액은 2015년 ¥74.6조에서 2016년 ¥85.5조, 2017년 ¥33.1조 수준을 나타냈다.


연구원들은 "2018년 중에는 정책적 측면에서의 불확실성 요인이 다수 예정되어 있어 정책 조정이 빠른 시일 내에 이루어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며 "차기 BOJ 총재 결정(4월 임기만료, 2월말 지명 예상), 춘계 임금협상, 9월 자민당 총재 선거, 4분기 소비세 인상여부 결정 등 불확실성을 극복해야 본격적인 정상화 추진이 가능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고 전했다.

taeminchang@fnnews.com 장태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