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울시 도시재생사업, '좋은 새 일자리'도 만든다

김용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1.08 10:31

수정 2018.01.08 10:31

'도시재생사업 고용창출효과' 첫 연구조사…서울역·세운상가·창신숭인서 8만8693명 
서울시 도시재생사업이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낙후된 도심의 기능을 재활시키는 본기능 뿐 아니라 적잖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건설단계에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일자리는 물론 건설 후 운영·관리 단계에서 지속가능한 일자리 덕분에 토목건축 위주의 주택재개발·재건축 사업에 보다 고용효과가 2.5배 이상 더 높다는 분석이다.

8일 서울시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래해 조사·분석한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고용창출효과'에 따르면,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총 13개소)의 핵심 프로젝트인 서울역 일대, 세운상가, 창신·숭인 등 3개소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8만8693명의 신규 일자리 유발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실질적인 일자리 유발효과를 조사·분석한 국내 최초의 사례다.

■도시재생 사업서 신규 일자리 9만…"지속적인 일자리 ↑"
이번 연구엔 서울시의 직접적인 예산 투입을 통한 공공사업(계획·건설·운영·관리 등)으로 발생하는 '직접고용효과'뿐 아니라, 이로 인해 파생적으로 발생하는 민간주도개발과 인근 지역 상권 활성화 파급효과 등을 포함한 '간접고용효과'까지 포함됐다.
또,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방점이 있는 도시재생의 특성에 맞는 분석 방식을 새롭게 개발·적용한 것이다. 그간 공공예산 투입 대비 일자리 창출효과를 도출하는 방식과는 다르다.

서울시 도시재생사업, '좋은 새 일자리'도 만든다
간접효과가 컸다. 실제 8만8693명의 일자리 중 간접고용효과는 8만3561명으로 직접고용효과(5132명)의 16배 이상 컸다.

여기서 직접고용효과는 공공의 마중물 사업비 투입을 통해 건설·계획 단계에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고용효과와 도시재생사업 운영·관리 단계에서 발생하는 신규일자리 창출효과를 추정한 수치다. 이에 비해 간접고용효과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또는 인근지역에서 민간주도 대규모 개발사업은 물론 도시재생사업전후 비교를 통해 업종변경, 신축등으로 인해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면서 발생하는 고용유발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투자 대비 고용효과는 공공 마중물사업이 인근 파급으로 인한 고용효과보다 더 컸다. 3개 지역의 고용창출효과를 투자비 10억원 당 창출되는 일자리 수로 환산한 결과, 직접고용효과(공공 마중물사업)는 21.38명, 간접고용효과(인근파급)는 19.38명이었다. 연구팀 김갑성 교수는 "토목건축 위주의 주택재개발·재건축 사업에 10억원 투자 시 고용창출효과가 8.7명이란 분석결과에 비춰보면 도시재생 고용유발효과는 21명으로 2.5배 이상 더 높다"고 설명했다.

도시재생은 건설단계에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일자리는 물론 건설 후 운영·관리 단계에서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유발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직접고용효과를 보면 건설단계의 '일시적' 일자리(2387명)보다 건설 이후 운영단계에서 생겨나는 '지속적인' 일자리(2745명)가 1.1배(358명)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도시재생이 지속가능한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 131개 도시재생지역 고용효과 분석한다
서울시는 지난해 시범조사를 확대해 올해엔 총 131곳의 도시재생활성화지역에 대한 고용유발효과를 분석할 계획이다. 특히 그 분류를 △경제기반형(광역 차원의 신 경제거점으로의 가능성을 가진 지역-서울역 일대) △중심시가지형(역사문화특화 및 도심 활성화 중심지로의 잠재력을 가진 지역-세운상가) △근린재생 일반형(인구감소, 고령화 등으로 쇠퇴했지만 상권회복 가능성 등 잠재력을 보유한 지역-창신·숭인) 등 3가지로 나눠 보다 분석한다.

현재까지 분석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지역의 일자리 유발효과가 가장 크다. 1200억원을 투자한 중림동, 서계동, 회현동 등 서울역 일대에선 5만4228명(직접효과 2078명, 간접효과 5만2150명)의 고용유발효과를 낼 전망이다. 중심시가지형으로 약 1000억원이 들어간 세운상가의 고용유발효과는 3만3074명(직접 2708명, 간접 3만1366명)으로 추산된다.
근린재생형으로 200억원이 투입된 창신·숭인에선 391명(직접 346명, 간접 45명)이 기대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도시재생은 경제·사회·물리·환경적 해결방안을 종합적으로 마련해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21세기형 도시관리방식으로 저성장시대 도시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은 물론 양질의 일자리도 이끌어내는 정책"이라며 "주민과 공공 등 주체들 간의 협업에 따른 지역 활성화와 다양한 특화산업 유치에 따른 관광유발 효과 같은 비물리적인 부분까지 확대하면 일자리 유발효과가 더욱 클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의 '서울형 도시재생사업'은, 김수현 서울연구원 원장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대통령비서실 사회수석으로 임명되면서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정책'이라는 이름으로 채택돼 전국 정책으로 확대하고 있다.

fact0514@fnnews.com 김용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