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제주 도시재생 “지역특화, 맞춤형 정주환경 조성”에 역점

좌승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1.20 09:27

수정 2018.01.20 09:29

[fn이사람] 이승택 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장 
‘과속’ 도시재생 경계…
“일자리 만드는 도시재생이어야 한다”
이승택 이승택 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장
이승택 이승택 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장

[제주=좌승훈기자] 도시재생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도시재생 뉴딜정책을 공약으로 내걸었던 문재인 정부는 임기 5년 동안 매년 10조원을 투입해 전국 원도심과 노후 주거지 500곳을 살려내겠다고 밝힌 바 있다.

도시재생 활동가인 이승택 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장은 “도시재생을 통해 도시를 관리하겠다는 정부 정책은 조금 늦은 감은 있지만 시의적절한 판단”이라며 “특히 지역의 차이를 인정하고 지역에 맞는 방식으로 도시를 관리하는 도시재생 방식은 도시마다 개성을 부여하고 맞춤형 정주환경을 만드는 게 최선”이라고 밝혔다.

이 센터장은 또 “도시재생이 ‘뉴딜정책'이라는 명칭으로 일자리와 주거 문제를 빨리 해결하겠다는 의도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 신산머루·월평마을, 도시재생 뉴딜사업 본격 추진

이 센터장은 특히 “올해부터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본격 추진됨으로써, 기존 제주시 원도심 재생사업도 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제주지역의 경우, 제주시 일도2동(신산머루)과 서귀포시 월평동(월평마을)이 정부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로 선정돼 2021년까지 3년 동안 각각 83억원(국비 50억원)과 98억7000만원(국비 59억2000만원)이 투입된다.


이 센터장은 “'곱들락한 신산머루 만들기'는 ‘우리 동네 살리기’ 사업으로, '혼디 손심엉(함께 손잡고)! 지꺼진(기분 좋은) 월평마을 만들기'는 ‘주거지원형’ 사업으로 추진된다”며 “전면 철거방식이 따르는 기존 정비사업과 달리, 도시의 기존 틀을 유지하면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도시 활력을 높이는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제주시 원도심 재생사업 “성공 열쇠는 민·관 소통”

이 센터장은 또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기존의 도시재생 목표에 일자리을 더한 도시 혁신사업”이라며 “그동안 제주시 원도심 재생사업 추진 경험을 토대로 새로이 추진되는 이번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각 사업별 현장지원센터와 주민·행정 간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센터장은 특히 기존 제주시 원도심 재생사업의 경우에도 사업화단계에서 안착화단계로 들어설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이 센터장은 “제주시 원도심 재생사업의 핵심은 정주인구, 근로인구를 늘려 사회경제적인 선순환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라며 “관광객으로 대변되는 유동인구를 제주시 원도심이 가장 번화하던 시기의 수준으로 늘려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에 대응하는 도시 구조를 만들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는 2017 도시재생 한마당 - 주민참여 프로그램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는 2017 도시재생 한마당 - 주민참여 프로그램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 1인 창조기업·스타트업 유치…원도심 근로인구 확대

이 센터장은 “정주인구 증가가 도시재생의 핵심이나, 도시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대규모 주거시설을 유치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근로인구 증가를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를 위해 민간 주도의 공유공간사업을 유도하되, 민간이 투자하기에 부담이 되는 회의·휴식 공간 등을 조성함으로써 민간 주도의 1인 창조기업과 스타트업을 유치하고,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끌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센터장은 다만 “도시재생은 지역 정체성에 기반을 둔 사업으로서, 지역 현실에 맞는 방식으로 진행돼야 하나, 아직까지는 지역 내 도시재생 전문가가 부족하고, 사업 연구도 안 돼 있어 자료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 임대료↑…원주민 내쫓는 앞뒤 바뀐 도시재생 ‘경계’

이 센터장은 또 “도시재생사업은 단기간에 끝낼 수 있는 사업이 아니다. 단기간 속도전으로 밀어붙이게 되면 도시재생사업의 본말이 전도돼 젠트리피케이션(원주민 내몰림) 등 부작용과 예산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며 “단기간 내 가시적 성과에 연연할 게 아니라, 긴 호흡과 마음의 여유를 갖고 지역공동체와 사회적 경제 기반을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센터장은 특히 “제대로 된 도시재생사업은 주민과 현장 주도로 지속될 수 있도록 자생력을 키우는 구조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 원도심 지역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지역주민과의 가교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는 2016년 9월 개소했다.
제주 원도심 지역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지역주민과의 가교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는 2016년 9월 개소했다.

■ 도시재생센터, 주민과의 가교 역할, 재생사업 본격 지원

한편 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는 2016년 9월 개소했다.
제주시 원도심과 제주도 일원의 도시재생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다. 이승택 전 제주도 정책보좌관이 센터장을 맡고 행정소통팀, 사업추진팀, 도시디자인팀 등 3개 팀으로 나눠 10명이 근무하고 있다.


현재 도시재생사업 주민참여와 홍보, 주민역량 강화사업, 주민교육프로그램 기획·운영, 지역주민 지도자 양성, 주민협의체 지원, 도시재생사업 지원, 도시재생사업 추진기구 설립 지원, 도시재생대학 운영 등을 수행하며 지역주민과 행정과의 가교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jpen21@fnnews.com 좌승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