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지방자치단체장의 신년 구상] 이시종 충북도지사 "충북 경제성장률 6%대.. 공격적 투자유치, 결실 더 커질것"

김원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2.01 16:46

수정 2018.02.01 16:46

‘4% 충북경제’ 자신 있나 산업단지 분양면적 전국 1위.. 기업.일자리 늘면서 경기선순환 정착
바이오산업으로 히트쳤는데 1990년대부터 미래먹거리로 선점.. 세계적 수준 인프라 확충할 것
충북형 일자리정책이란 올 고용률 72%가 목표.. 청년일자리 8000개 만들어 ‘희망충북’ 될 것
이시종 충북도지사가 1월 30일 올해 추진할 다양한 민생정책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시종 충북도지사가 1월 30일 올해 추진할 다양한 민생정책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청주=김원준 기자】 "그간 공격적으로 추진한 투자유치의 결실로 올해 경제 전망은 어느 때보다 밝습니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1월 30일 파이낸셜뉴스와 인터뷰를 갖고 "민선 5.6기를 거치며 '먹고사는 문제' 해결을 위해 경제에 '올인'해 왔다"면서 "과거 충북은 경제부문에서 특히 약했지만 이제는 희망적"이라고 말했다. 지난 2010년 우리나라 전체 경제규모 대비 3.12%였던 충북의 경제규모는 지난해 3.65%로 7년만에 0.53%p높아지며 몸집을 불렸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잠정 경제성장률이 3.1%인데 반해 충북도의 경제성장률은 6.3%로 집계되는 등 성장세도 가파르다.

인구도 계속 늘어 지난해에는 163만명을 넘어섰다.
투자유치 활성화로 산업단지 분양이 활기를 띠면서 기업체 수와 고용인력이 늘어나고 경제가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가 정착돼 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성장세에 힘입어 충북은 지난해 '산업단지 분양면적 전국 1위', '제조업체수 증가율 전국 1위', ‘고용인원 증가율 전국 1위’, ‘실업률 최저 1위’ 등 각종 경제지표를 석권했다.

이 지사는 "충북은 도단위 광역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바다가 없는 곳으로 철강과 조선 등 중화학공업 입지가 어렵다"면서 "그러나 바이오와 태양광, 뷰티산업 등 6대 신성장동력산업을 집중 육성한다면 오는 2020년까지 전국대비 ‘4%충북경제’ 실현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다음은 이 지사와의 일문일답.

―올해 도정의 역점 추진 방향은.

▲올해는 ‘충북미래비전 2040 및 세계화’의 원년이다. 청년들이 꿈과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는 역동적인 충북건설과 ‘초(超) 100세 시대’의 어르신들이 더 젊고 더 건강하게 사는 충북건설에 주력할 계획이다. 고용률 72%와 실업률 1.5%, 경제성장률 6.27%, 수출 220억달러, 전국대비 3.77% 충북경제달성이 목표다. ‘생명과 태양의 땅 충북’을 목표로 추진해 온 신성장산업 육성에 초점을 맞추면서 투자유치와 투자기업 정주여건 조성에도 노력하겠다. 중부고속도로와 충청내륙고속화도로, 충북선철도고속화 등 아직 해결되지 않은 사회간접자본(SOC)사업을 서둘러 완공하고 미래성장동력이 될 새로운 SOC사업발굴과 육성에도 힘을 기울일 것이다.

―오는 2020년까지 충북경제를 ‘전국대비 4%’규모로 키우겠다고 약속했는데, 그간의 성과는.

▲도지사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도민의 먹고사는 문제 해결이다. 과거 충북은 전국경제 규모대비 3%에 그치는 등 경제부문에서 특히 약했기 때문에 그러한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현재 각종 지표는 '4%충북경제'실현에 청신호가 켜졌다고 볼 수 있다. 우선 인구가 163만명을 돌파하는 등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광제조업체수 증가율과 실질경제성장률, 수출증가율, 고용률, 실업률 등 각종 경제지표도 전국 최고수준을 보이고 있다. 특히 작년에는 총 40조원대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최고의 투자유치실적을 냈다. 6대 신성장동력산업과 4차 산업을 집중육성하고 지속적으로 투자를 유치하면 목표한 기간 안에 4% 충북경제 실현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본다.

―태양광과 신재생에너지 등을 6대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삼고 있는데, 육성전략은.

▲충북은 바다가 없어 자동차와 조선산업, 철강산업, 대규모 중화학공업입지가 곤란하다. 따라서 내륙에 적합한 6대 신성장 산업을 일찍부터 선점해 키우고 있다. 6대 신성장산업은 △바이오 △태양광.신재생에너지 △화장품.뷰티 △유기농식품 △신교통.항공 △반도체 정보통신기술(ICT)융합 산업 등이다. 세계적으로 제조업 경쟁력이 약화되는 추세인데 반해 6대 신성장산업은 미래첨단산업으로 성장가능성이 무한하다. 이들 산업은 현정부의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등 육성정책으로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6대 신성장산업과 함께 △기후.환경산업 △관광.무예산업 △첨단형뿌리기술산업 등 3대 유망산업을 비롯, 4차 산업혁명 관련 기능정보기술이 융합된 고부가가치 산업을 집중 육성해야한다.

―바이오산업은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

▲충북이 미래유망산업으로 바이오산업을 선점한 것은 탁월한 선택이었다. 바이오가 생소했던 1990년대 부터 미래먹거리 전략산업으로 키워왔다. 2009년 국가산업단지인 오송생명과학단지를 조성했으며, 2010년에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과 바이오연구기관 유치가 이어졌다. 현재는 오송제2생명과학단지가 조성중이다. 여기에는 보건의료 6대 국책기관과 215개 바이오연구개발 기업.기관이 유치돼 세계적 바이오클러스터를 형성했다. 충북의 바이오산업 생산규모는 전국대비 16.6%로 전국 2위 규모다. 충북 바이오.헬스 혁신.융합벨트 구축 등 세계수준의 인프라 확충을 통해 세계 3대 바이오밸리로 도약하는 것이 목표다.

―‘충북형 일자리정책’은 무엇인가.

▲충북은 지난해 말 현재 고용률 70%, 실업률 1.7%등으로 고용상황지표의 경우 전국 최고 수준으로 잘 나가고 있다. 공격적인 투자유치를 통해 경제성장과 일자리를 창출한 덕분이다. 올해까지 고용률을 72%로 높이고 일자리도 40만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청년일자리 창출을 통해 청년고용률을 60%까지 끌어 올려 청년일자리 8000개를 만들 계획이다. 여기에 청년조례를 만들어 청년일자리와 복지 등 다양한 청년정책을 추진하게 된다.

―‘생산적 일손봉사 사업’이 대표적인 충북형 일자리 사업으로 자리잡았는데.

▲지난 2016년 7월 시작한 이 사업은 도시의 유휴인력을 일손이 부족한 농가와 기업에 연결해 농가와 기업의 인력난을 덜고 지역경제도 살리는 충북의 독창적인 사업이다. 농가와 기업의 생산적 일자리 현장에 봉사개념을 접목, 어려운 농가와 기업을 되살려보자는 뜻이 담겨있다. 참여자들에게는 소정의 실비가 지급된다. 일할 능력이 있는 75세 이하의 충북도민이면 누구나 참여가능하다. 현재는 참여자들의 언론의 호평이 이어지면서 반응이 폭발적이다. 지난 한햇동안만 4673곳의 농가와 기업현장에 9만7295명이 참여해 목표치를 초과했다. 올해는 참여인원 12만명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회간접자본(SOC) 현안사업은.

▲올해 정부의 전체 SOC예산은 20%감소한데 반해 충북은 5%줄어드는데 그쳤다. 끈질긴 노력으로 중부고속도로 서청주~증평 구간 확장 설계비 20억원을 반영했다. 이는 남이~호법 전구간 착공의 신호탄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충청내륙고속화도로도 구간별로 정상추진되며, 중부내륙철도 사업도 2876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2021년 완공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한다. 아울러 69%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는 중앙선 복선전철 제천~원주 구간은 올해 완공되고, 충주~문경 구간은 올해 착공해 2021년 완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한다. 또한 지난해 12월 기본설계에 착수한 청주공항~천안 복선전철은 2022년 완공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올해 청주국제공항과 관광산업 활성화 전망은.

▲지난 2016년 공항이용객 증가율 1위를 기록하는 등 잘나가던 청주공항이 사드사태로 이용객이 급감하는 등 큰 타격을 받고 있다. 그 와중에 국내선 이용객 증가와 대만, 일본, 러시아 등으로의 국제선 다변화는 큰 수확이다. 최근 대 중국 관계가 회복되면서 중단된 중국노선 재개가 기대되고 있다. 청주공항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청주공항을 모기지로 하는 항공사 설립이 시급하다는 생각이다. 이와 함께 새로운 관광시설을 조성해 관광객을 유인하는 작업도 병행해야한다.

―평소 지방분권 개헌의 당위성을 강조했는데, 지방분권 개헌에 대한 전망은.

▲대통령 탄핵이라는 국정 대혼돈 속에서도 국민이 안정 속에 생활할 수 있었던 것은 지방자치와 지방분권이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는 국회.행정부와 행정부 내의 권한 분산에만 집중해왔다면 이제는 대통령권한 분산을 위한 중앙-지방간 수직 권한배분이 필요하다. 지방자치실현을 위해서는 행정.재정.입법 등 3대 지방자치권 헌법을 통해 보장돼야한다.
중앙-지방간 권한분산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는 세계적인 추세다. 지금이 개헌 적기이며 이번 기회에 개헌이 이뤄져야한다.
오래 끌수록 국민과 정치권, 정부 등에 부담과 피로감이 누적될 뿐이다.

kwj5797@fnnews.com

■약력 △70세 △충북 충주 △청주고 △서울대 정치학과 △행정고시(10회) △충북도기획관리실장 △청와대 행정관 △내무부 지방기획국장.지방자치기획단장 △민선 1∼3기 충주시장 △17.18대 국회의원 △민선5기 충북도지사 △민선6기 충북도지사(현)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