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펀드·채권·IB

주요국 통화정책 미세한 변화에도 금융시장 민감해질 수 있어 <국금센터>

장태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3.02 08:28

수정 2018.03.02 09:01

국제금융센터는 2일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성장세 유지와 시장충격 억제를 위해 점진적으로 시행될 전망이지만 전례없는 장기간의 완화에 따른 높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세한 정책기조 변화에도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할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김위대 연구원은 "올해 중 Fed는 자산축소와 더불어 정책금리 3~4회 인상이 전망되며, ECB는 동결(QE는 연말경 종료), BoJ는 당분간 완화적 수준 유지가 예상된다"면서 이같이 분석했다.

그는 ECB와 BoJ는 통화정책 정상화로 인한 통화가치 절상과 시장불안을 억제하기 위해 美 연준의 정책 스탠스를 감안하면서 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또 "주요 3국 이외에도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스웨덴, 노르웨이 등 여타 선진국 중앙은행들도 정책 동조화 소지가 커지고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글로벌 경기사이클의 동조화로 통화정책의 거시경제 영향은 제한적인 반면 금융시장에는 상당한 파급효과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Fed 긴축에도 불구하고 미국 수요 증가세가 이어지고, 당분간 ECB·BoJ의 완화적 스탠스도 지속돼 글로벌 동반성장 기조가 유지될 것"이라며 "Fed의 정책 정상화로 인한 미국 경기둔화 여지를 확장적 재정정책 효과가 보완하게 된다"고 진단했다.


선진국의 기업투자가 1%p 증가할 때 신흥국의 수출은 0.5%p 확대된다는 분석도 나온다고 소개했다.

하지만 금융시장은 Fed의 긴축기조 강화시 국채금리 상승과 달러강세를 통해 자산가격 조정, 자금이동(일부 신흥국 불안)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Fed 긴축이 시장 기대보다 빠르게 진행될 경우 달러화 실효환율 상승이 예상되며, 유로화의 경우 채권자금 환류와 연말 QE 종료 가능성, 엔화는 금융위기 이후 형성된 안전자산 인식이 약세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주가 고평가 부담 속(MSCI 세계지수 P/E 2011년 13.7→현재 20배)에 금리 상승으로 위험자산 회피 성향이 확대될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 10년 국채금리가 1%p 상승할 때 유로존과 일본 금리는 각각 0.3%p, 0.1%p 상승할 수 있다"면서 "미국과 여타국의 금리차 확대는 미국으로의 채권자금 이동 유인(yield hunting)"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유로존 자금은 ECB 테이퍼링으로 유출이 억제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taeminchang@fnnews.com 장태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