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한은 5월 금리 인상? 근원 물가가 변수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3.08 15:17

수정 2018.03.08 15:17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의 연임이 발표된 이후 한은의 금리 '조기인상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총재 연임으로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사라진 만큼 5월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논리다. 더구나 최근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빨라진다는 전망이 힘을 받으면서 조기인상론이 힘을 받고 있다. 다만 미국의 통상압력으로 대외환경이 불안한 상황에 내수에서 금리인상을 이끌만한 신호가 나오지 않는다면 한은의 고민은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

■한은, 선제적 대응 전망
8일 금융 시장에 따르면 한은이 다음달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인상 소수의견이 나오고 올 상반기 마지막 금통위인 오는 5월에 금리 인상을 할 것이라는 시장의 관측이 나온다.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총재가 연임되면 바뀐 총재에 대한 성향 파악 등을 위한 (통화정책) 휴지기가 필요가 없어졌다.
인상시기가 하반기에서 상반기로 당겨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라며 "총재 연임은 중기적으로는 (통화정책의) 불확실성 해소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5월 금리 인상설에 힘을 더하고 있는 것은 미국의 움직임이다. 시장에서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존 전망에 비해 한 차례가 더 많은 최대 4차례까지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연준은 7일(현지시간) 공개한 경기평가보고서인 '베이지북(Beige book)'을 통해 미국의 고용시장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면서 임금 상승 압력이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지역 물가 상승세도 '보통'에서 '완만한' 수준으로 개선됐다며 평가했다. 베이지북이 연준 통화정책 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연준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빨라지질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대목이다.

한국과의 금리 역전은 단기적으로는 파장이 크지 않다. 하지만 장기화되면 외국인투자금 유출이 현실화될 수 있다. 이 같은 우려를 미리 차단하기 위해 한은이 5월 인상을 단행한다는 분석이다.

또 경기 사이클을 고려할 때 올 하반기에 비해 상반기가 한은 입장에서 부담이 덜하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올해 경기 흐름은 상고하저로 본다. 올 하반기는 지난해 하반기 경기가 좋았던 기저효과 탓에 성장률이 다소 둔화될 수 있어서다. 한은 통화정책의 고려 사항 중 하나가 경기 흐름인 만큼 성장률 둔화가 예상되는 하반기보다는 경기가 좋은 상반기 인상이 부담이 덜한 것은 사실이다.

■2분기 물가가 변수
변수로 작용할 부분이 있다면 내수 부문이다. 특히 소비가 얼마나 활발한지를 보여주는 '근원 물가'가 기조적 상승곡선을 그릴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한은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갭률이 지난해 하반기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GDP갭률은 실제 국내총생산과 잠재 생산능력 간의 차이로, 플러스면 생산요소가 과잉 사용되는 경기 호황상태를 뜻한다.

한은 지난달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규제가격이 제외된 근원인플레이션은 국내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GDP갭률에 약 3분기 정도 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GDP갭률이 플러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물가 상승압력이 점차 가시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올 2·4분기에 물가 상승이 가시적으로 나타날 경우 한은은 금리 인상에 부담을 덜 수 있다.

그러나 연초 물가 흐름은 좋지 않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 중 변동성이 큰 석유류·농산물 제외지수(근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2% 상승하는데 그쳤다. 통화정책 목표치인 2.0%에 한참 못미친다. 지난 1월에 근원물가는 더욱 낮은 1.1% 수준이었다.

또 수출 환경에도 불확실성이 크다. GM사태는 물론이고 미국 통상압력의 강도도 높아지고 있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원화 강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수요 측에서도 물가 상승 압력이 크지 않는 등 내수가 좋지 않다보니 GDP갭률이 플러스로 돌아섰지만 물가 상승 압력이 크지를 않다"며 "글로벌 무역전쟁이나 GM사태 등으로 대외 환경도 불안해 아직 금리를 올릴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