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트럼프 무역전쟁 후폭풍] 세탁기·철강 수출전선 비상..반도체·車로 번질땐 경제 흔들

김서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3.11 17:20

수정 2018.03.11 17:20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세탁기 세이프가드 이어 한달만에 철강에 관세폭탄
당장 성장률에는 영향 적지만 美 압박 장기화되면 위협적
"우리 정부, EU 등과 공조..美 정부 계속 설득해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산 철강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가운데 충남 당진 철강단지엔 휴일을 맞아 적막감이 감돌았다. 철강제품을 실은 트럭들이 11일 당진 철강단지 내 도로변에 늘어서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산 철강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가운데 충남 당진 철강단지엔 휴일을 맞아 적막감이 감돌았다. 철강제품을 실은 트럭들이 11일 당진 철강단지 내 도로변에 늘어서 있다. 연합뉴스

[트럼프 무역전쟁 후폭풍] 세탁기·철강 수출전선 비상..반도체·車로 번질땐 경제 흔들

미국의 보호무역조치 강화로 한국 경제에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 지난 1월 세탁기.태양광 패널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에 이어 한 달여 만에 철강에 대한 25% 관세부과 결정까지 나오면서 수출이 직격탄을 맞게 됐다.


다만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장기화되거나 반도체, 자동차 등으로 확대될 경우 경기흐름과 성장세 둔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한국무역협회와 전문가들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지난 1월 세탁기.태양광 패널에 대한 세이프가드에 이어 지난 8일(현지시간) 수입산 철강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당장 우리 세탁기, 철강.알루미늄 등 관련 업계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이는 한국 경제의 수출 의존도가 높아서다.

지난 1월 세이프가드가 발동된 세탁기는 미국이 우리의 수출 1위 국가였다. 전 세계적 세탁기 수출 감소세 속에서도 미국 수출이 호조세를 이끌었다. 세탁기의 미국 수출 규모는 2005년 1억1917만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를 거듭해 2015년 616만달러까지 떨어졌다. 이후 2016년 2340만달러, 지난해 4302만달러 등 다시 기지개를 켜면서 과거 수출 규모를 회복했지만 이번 조치로 수출전선에 비상이 걸렸다.

한 해 미국에 수출되는 한국 세탁기 물량은 250만~300만대이며 금액으로 따지면 1조원대로 추정된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미국 세탁기 수출물량이 절반 이상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미국 정부는 세이프가드를 발동한 지 한달여 만인 지난 8일 '무역확장법 제232조'를 근거로 수입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0%의 관세를 각각 부과토록 했다.

한국무역협회는 한국의 미국 철강 수출액 중 73.6%가 이번 조치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피해 규모는 전 세계에서 브라질(78.5%) 다음으로 큰 것이다.

제232조 적용 대상이 되는 한국산 제품의 전 세계 수출금액은 지난해 244억4100만달러다. 이 중 미국으로 수출하는 비중은 12.2%(29억8000만달러)다.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로 인해 관련 수출업계에는 비상이 걸렸지만 당장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경제주체 심리를 움츠러들게 하고, 금융시장의 불안을 키울 수 있다는 점은 우려로 제기된다.

싱가포르개발은행(DBS) 마 티에잉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의 수입산 철강에 대한 관세부과는 한국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철강 관세의 영향은 철강섹터에 제한되고, 경제 전반에 퍼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경제연구원도 "미국 철강 관세부과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바탕으로 앞으로 1년간 한국 경제의 부가가치 손실분을 추정하면 약 4000억원"이라며 "한국의 연간 국내총생산(GDP)이 1500조원 정도라는 점을 고려하면 당장 철강 관세가 성장률을 크게 깎아먹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미국의 무역보호 기조가 장기화될 경우 한국 경제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권영준 경희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의 보호무역 조치로 인해 단기적 충격도 있겠지만 장기화될 경우 우리 경제에 더 큰 충격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는 우리와 함께 피해가 불가피해진 EU 등과 힘을 모아 미국 정부를 설득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