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국, 美국채 덤핑으로 통상압박 반격?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3.19 17:13

수정 2018.03.19 22:20

전문가들 "가능성 희박" 미 금융시장 흔들리면 중국 등 신흥시장 더 타격
중국, 美국채 덤핑으로 통상압박 반격?
【 워싱턴=장도선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보편적 수입 관세 부과를 결정한 데 이어 중국만을 겨냥한 별도의 강도 높은 통상.투자 규제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보도들이 잇따르면서 향후 중국의 대응에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측이 이미 대미 통상 보복 가능성을 경고하고 나선 가운데 일부 경제 전문가와 미국 언론들은 중국의 미국 국채 매각, 또는 매입 중단도 하나의 효과적 무기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지난 1월 블룸버그통신은 신원을 공개하지 않은 중국 관리들을 인용해 미국 국채의 매력이 다른 자산들과 비교할 때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중국 정부가 미국 국채 매입을 중단하거나 매입 규모를 축소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의 보도가 나오고 한 시간도 안 되는 사이에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약 5bps(1bp=0.01%)나 치솟았다. 당시 중국 정부 관계자는 블룸버그 보도를 부인했다.

공교롭게도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고는 최근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15일(현지시간) 공개된 미국 재무부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미국채 보유고는 작년 12월 1조 1800억달러에서 금년 1월 1조 1700억달러로 줄었다. 이는 2017년 7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반면 같은 기간 일본의 미국채 보유고는 1조 600억달러에서 1조 700억달러로 늘어나 지난해 7월 이후 처음 증가했다. 2018년 1월 현재 외국인들의 미국 국채 총 보유고는 6조 2600억달러로 3개월 연속 감소했으며 전체 발행 국채의 약 30%에 달한다.

중국이 미국 국채를 이용해 미국에 보복을 가한다는 시나리오는 이론상 가능하다.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지난해부터 대차대조표 축소 작업의 일환으로 국채 보유고를 줄여가고 있는 가운데 올해 재무부의 국채 발행 필요성은 오히려 확대됐다. 작년 말 감세를 골자로 하는 트럼프의 세제개혁이 단행된 데 이어 지난달에는 의회가 3000억달러의 추가 지출 법안을 통과시켰다. 게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계획하고 있는 인프라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서는 추가 재정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분석가들은 올해 재무부의 국채 발행 규모가 1조달러를 넘어 작년의 약 2배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때문에 중국이 통상 보복 차원에서 미국 국채 매입을 중단하거나 기존 보유 국채를 매도할 경우 재무부가 새로 발행하는 국채 판매에 차질이 생겨 국채 가격이 하락하고 수익률이 크게 오르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국채 수익률의 가파른 상승은 전반적 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기업과 가계의 자금 조달 비용을 늘리고 증시를 압박하게 된다. 지난달 미국 증시의 변동성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주요 지수가 10% 하락한 주요 요인은 바로 공격적 금리 인상 우려였다.


하지만 중국이 미국의 통상압력에 대한 보복 차원에서 미국채를 대거 매각해 미국의 금융시장을 의도적으로 교란시킬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중론이다. 중국의 미국채 매도로 국채 가격이 떨어진다는 것은 결국 남아 있는 중국 자산(미국채)의 가치 하락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 미국채 가격 하락으로 수익률이 치솟고 미국 금융시장이 흔들릴 경우 중국 등 신흥시장은 미국 보다 더 타격을 받게 될 가능성이 크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