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fn이사람] 이원형 대한변리사회 신임 상근부회장 "법조기득권 맞서 변리사 권익 수호"

김경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4.04 17:32

수정 2018.04.04 21:21

[fn이사람] 이원형 대한변리사회 신임 상근부회장 "법조기득권 맞서 변리사 권익 수호"


"법조 기득권과 맞서겠다."

이원형 대한변리사회 신임 상근부회장(사진)은 "변리사의 목소리를 밥그릇 싸움으로 폄훼하고 희석시키려는 법조 기득권 세력에 맞설 것"이라고 이같이 강조했다.

이 상근부회장은 지난달 출범한 40대 변리사회 집행부에 합류했다. 11년 만에 배출된 역대 2번째 상근부회장이다.

대한변리사회가 배출한 상근변리회장은 지난 2007년에 한 차례 있었다. 또 여성 상근부회장으로는 역대 처음이다.
상근부회장이 사무총장을 겸임하도록 하는 막중한 임무를 부여받았다.

이 상근부회장은 "변리사 제도가 약화되고 있는 위기 상황에서 상근직 임원을 맡게 된 만큼 그간의 업무 경험과 여성으로서의 합리적이고 포용적 리더십을 발휘해 변리사의 전문성과 역할 강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변리사의 권익 보호에 필요한 정책 도출도 강화한다. 이 과정에서 변호사협회와 일전도 예상된다. 변호사들의 변리사 자격 자동취득 폐지, 변리사의 특허 침해소송 대리권 취득뿐만 아니라 지식재산(IP) 관련 새로운 정책도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이 상근부회장은 "연구개발(R&D) 못지않게 권리범위를 정하는 변리사의 업무가 중요하다"면서 "변리사의 전문성과 역할이 강화돼 변리사 제도가 바로 서야만 좋은 특허가 많이 생기고 우리나라도 원천기술부국, 기술무역 수지 흑자국, 더 나아가 선진국의 문턱을 넘을 수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상근부회장은 40대 변리사회장에 지난달 취임한 오세중 회장과 대국회 활동도 함께 강화한다. 오 회장은 민주화운동을 함께 한 다수의 현직 국회의원과 네트워크를 지닌 것으로 전해졌다.

이 상근부회장은 "국회와 정책협의체 구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변리사 역할의 중요성과 변리사제도가 국가 IP 품질을 좌우하게 되는 메커니즘을 국회에 이해시키는 것이 급선무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변리사제도는 국가 IP 품질을 위해 우리 사회가 엄격히 지켜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변리사제도가 바로 서야 국가의 IP정책도 바로 선다"고 그는 강조했다.


남북한 지재권 교류 연구도 변리사회 새 집행부에서 새롭게 검토한다.

이 상근부회장은 변리사가 되기 전 외교부 공무원 생활을 한 독특한 이력도 지녔다.
그는 "남북한 지재권 교류가 지금까지 없었다"면서 "향후 통일을 대비해서 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rainman@fnnews.com 김경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