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펀드·채권·IB

미-중 상호보복시 장기금리 하락..관세의 물가효과보다 경기우려 더 크게 작용 <국금센터>

마켓포커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4.18 15:43

수정 2018.04.18 17:30

국제금융센터는 18일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가 강화되고 미-중 양국간 상호 보복으로 긴장이 지속될 경우 경기침체 위험이 커지면서 장기금리는 하락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국이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갈등이 심화될 경우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장기금리는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센터의 권도현·김윤경 연구원은 다만 단기금리가 크게 상승하고(장단기금리차 축소), 미국이 무역갈등의 당사자라는 점에서 미 장기국채가 계속해서 안전자산으로 기능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지적했다.

경제성장이나 인플레이션과 관련해 관세 인상이 단기적으로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보호무역 강도가 심화되면 경기침체 위험이 커지면서 장기금리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봤다.

예컨대 무역상대국들의 보복 대응과 주가 하락 등 금융여건 악화로 보호무역의 효과는 소멸되고, 경제활동이 둔화하면서 실질금리가 하락하고 인플레이션 압력도 약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통화정책과 관련해 아직 연준은 중립적인 입장이지만, 향후 무역갈등이 심화돼 경제 전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면 통화정책은 완화적 기조로 선회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들은 다만 "현재 인플레이션이 완만한 상승 추세에 있기 때문에 전면적 무역전쟁으로 전개되지 않는 이상 연준이 완화적으로 대응할 여지는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이어 "보호무역의 결과로 미 무역수지 적자가 축소되면 무역 상대국들의 외환보유액 증가 속도가 느려지면서 미 국채에 대한 해외 공공부문의 수요 감소로 연결될 수 있지만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며 "관세 인상을 통한 무역불균형 축소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외국인의 국채 수요 감소 가능성은 제한적이며, 중국 등 무역상대국 입장에서도 미 국채 투자 감소는 자국통화 강세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부담"이라고 덧붙였다.

taeminchang@fnnews.com 장태민 기자
마켓포커스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