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펀드·채권·IB

2020년 글로벌 경기침체 가능성 거론되고 있어 <국금센터>

마켓포커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5.24 08:39

수정 2018.05.24 08:57

국제금융센터는 24일 "미국 재정정책 효과 소멸, 주요국 정치 리스크, 각국의 정책 대응능력 약화 등을 감안하면 글로벌 경제가 2020년부터 경기침체에 돌입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고 소개했다.

국금센터의 강봉주 연구원은 "경기확장 후반부 국면에 위치한 글로벌 경제가 곧 침체에 돌입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다"면서 "다만 최근 글로벌 경제활동지수 약세는 경기침체 국면의 시작이기보다 소프트 패치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거나 서베이 지표들의 안정화를 고려하면 2분기부터 글로벌 성장세가 회복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고 지적했다.

강 연구원은 "최근의 주요 단기 리스크인 무역분쟁 또한 美中 공동성명으로 위험도가 다소 경감됐다"면서 "다만 미국 재정정책 효과 소멸 등을 감안하면 2019년말과 2020년이 상당히 위험한 시점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글로벌 펀드매니저 서베이에서 응답자들의 절반 이상이 경기침체 도래 시기로 2019년말이나 2020년을 예상했다"면서 "금년 중 경기침체 예상 비율은 3% 미만이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 재정정책의 성장 진작 효과가 2019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이나 2020년에는 소멸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면서 성장률 전망치가 2018년 2.9%, 2019년 2.4%, 2020년 2.0%로 수준으로 낮아진다고 밝혔다.

강 연구원은 "경기확장 국면에서의 감세 및 재정지출 확대로 다음 경기하강국면의 대응여력 先소진 가능성이 크다"면서 "공공부문 부채확대로 인한 구축효과, 보호무역 및 이민제한의 부정적 영향으로 인해 규제 철폐에 따른 잠재성장률 제고 효과가 약화될 전망이 나온다"고 소개했다.


2020년 미국 대선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영국은 브렉시트와 관련해 주요 이슈에 대한 합의 난항이 예상되는 가운데 브렉시트 전환기간은 2020년말로 만료된다.

강 연구원은 "전환기간 만료시기가 도래할수록 아일랜드 국경 문제 등 첨예한 이슈에 대한 갈등이 심화될 것"이라며 "불확실성이 고조되며 시장 및 성장 전망에 상당한 충격을 줄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이탈리아의 경우 ‘오성운동’과 ‘동맹’ 연정의 재정적자 확대 계획으로 인해 각국의 재정적자 수준을 관리하려는 EU 집행위원회와의 갈등이 고조되면서 이 문제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연정이 기존 유로존 탈퇴 계획을 포기한 점은 긍정적이나 재정적자 규모가 2018년 GDP의 1.5% 수준에서 2019년 6.5%까지 급등하게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고 소개했다. 양자간 갈등이 격화돼 2019~2020년 중 ECB QE라는 안전망을 상실할 경우 이탈리아 국채에 대한 투매가 일어날 수 있다고 했다.

일본은 1997년과 2014년의 소비세율 인상이 일본 경기침체의 트리거로 작용한 사례가 있어 2019년 10월 예고된 세율 인상 (8%→10%)이 경기침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강 연구원은 "과거 사례를 볼 때 경기침체 도래 최대 12개월 전에 위험자산이 베어마켓에 진입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경계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신흥국의 경우 국제수지 취약성이 높은 나라를 중심으로 대규모 금리인상 및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최근 美 국채금리 상승, 달러 강세, 유가 상승으로 국제수지 취약성을 지닌 일부 국가의 금융시장 변동성이 대폭 확대됐다. 러시아를 제외하면 경상수지 적자폭이 큰 국가들의 통화가치가 대폭 절하됐다.

강 연구원은 11월 美 중간선거 전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정책 강화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2018년 3분기까지 취약 신흥국들의 리스크가 고조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2010년 이후의 대규모 자본유입, 낮은 실질금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루마니아, 헝가리, 터키, 칠레 등 국제수지 취약성이 가장 높은 국가의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고 소개했다. 인도, 필리핀, 터키 등 대규모 에너지 수입국이자 경상ㆍ재정수지 적자를 겪고 있는 국가들은 유가 상승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추가적인 유가 상승시 아시아 신흥국들의 경상수지 흑자가 전반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은 기존의 경상수지 적자가 심화될 수 있다고 봤다.

신흥국 중앙은행들은 외환시장 개입 또는 통화절하로 대응하고 있으나 국제수지 리스크가 가중될 경우 대규모 금리인상이 필요할 것이란 시각들이 있다고 소개했다.


한편 노무라증권은 올해 말까지 터키(+300bp), 인도네시아(+50bp), 인도(+50bp), 루마니아(+25bp)의 금리인상이 예상되고 브라질과 칠레 또한 금리인상에 돌입한다면 연중 50bp~75bp의 인상이 전망된다고 밝혔다.

taeminchang@fnnews.com 장태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