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인터넷/SNS

[스타트업 이사람]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 "대기업 스타트업 M&A 나서고 혁신 성장 동력 삼아야"

박소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5.29 15:51

수정 2018.05.29 15:51

대기업-스타트업 윈윈 구조, 한국 미래 달려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 사진=박범준 기자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 사진=박범준 기자


"한국은 스타트업 인수합병(M&A) 시장이 너무 막혀있다. 대기업도 스타트업 생태계를 키울 수 있도록 참여하게 하고 이를 대기업의 혁신성장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 사진)은 29일 인터뷰에서 한국 스타트업이 저평가되는 이유를 이 같이 진단했다. 최 대표는 지난달 초 중소기업벤처기업부 산하 법인으로 등록된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을 이끌면서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방안을 최일선에서 고민하고 있다.

최 대표는 "한국에서 스타트업이 생존하기 힘든 이유는 규제 외에도 투자, 인재 고용이 있다"면서 "특히 한국은 투자 엑시트 경로가 기업공개(IPO) 20%로 높고 M&A는 10%도 안된다"고 설명했다. 미국 실리콘밸리의 엑시트 경로 중 M&A 비중은 6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IPO는 고작 4%에 불과하다.

즉, 국내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금을 성공적으로 회수하려면 M&A 시장이 달아올라야 하고 스타트업에 연간 1000억원 이상을 투자하는 네이버, 카카오 이상으로 대기업의 적극적 M&A도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는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뿐만 아니라 대기업의 혁신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어 '윈-윈'이 될 수 있다.

최 대표는 "구글, 페이스북이 계속 M&A를 하는 이유는 혁신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고, 중국은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가 스타트업 투자 전쟁을 벌이고 있다"면서 "국내 대기업도 시장 혁신 속도에 맞는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그 성과를 나눠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혁신적 스타트업이 등장하지 않으면 대기업 뿐만 아니라 한국 미래에도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스타트업으로 출발, 의장이 나란히 총수로 지정되며 대기업 입지를 다진 네이버, 카카오도 글로벌 시장의 성공적인 공략을 위해서는 국내 스타트업 투자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최 대표는 애정어린 조언을 쏟아냈다.

다만 최 대표는 스타트업이 순진하게 대기업의 투자 미끼를 물어서도 안된다는 당부도 했다. 투자 제안을 하며 재무제표, 비즈니스모델 등 스타트업 핵심 경영정보를 다 들여다보고선 비슷한 서비스로 시장에 진출하거나 경쟁사 인수를 위한 가격경쟁력 지표로 악용하는 등 스타트업을 울리는 대기업의 '갑질' 사례도 종종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최 대표는 스타트업의 목소리를 키우고 당당해지기 위해서라도 올해 코리아스타트업 포럼 가입사 수를 1000개로 확대하는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최근 가입사 수는 300개를 막 넘어섰다. 지난 2016년 9월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발족 당시 50개에 불과했던 가입사 수가 2년도 되지 않아 500% 늘어났지만 이에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코리아스타트업포럼 가입사가 1000개가 되면 우리 사회에서 스타트업이 가지는 무게감이 달라진다"면서 "현재 스타트업의 일자리 창출, 경제 기여도보다 스타트업 가치는 현격하게 떨어져있지만 1000개가 넘어서면 스타트업에 대한 사회적 위상이 달라지고 정부 정책의 우선순위도 달라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즉,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은 투자활성화 뿐만 아니라 제도와 나아가 사회시스템을 바꿔 스타트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스타트업을 위한 플랫폼이 되는 것을 가장 큰 목표로 삼고 있는 것이다.

최 대표는 아울러 코리아스타트업포럼에서 막 출발한 신생 스타트업을 키우기 위한 교육, 복지, 네트워크 활동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내 복지분과를 신설해 대기업 수준의 건강검진이나 상조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다.
최 대표는 "분과위원장도 스타트업포럽 답게 스타트업 대표가 자발적으로 맡고 있다"면서 "기존의 협회, 단체와 다른 스타트업만의 지향점을 지켜나가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의 혁신성장 정책에 대해서는 박수치고 싶지만 아직은 성과에 도취될 시점이 아니라고 했다.
최 대표는 "포괄적 네거티브 지향, 새로운 기술과 기존 산업의 이해관계가 충돌할 때는 혁신에 우위를 두는 방향성은 지난 정부보다 낫다"면서도 "우리사회가 규제혁신을 지속할 수 있는 구조가 아직 아니고 무엇보다 청와대에는 4차산업혁명이나 혁신성장을 담당하는 컨트롤타워가 없지 않냐"고 반문했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