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모닝포스트]구글서 비트코인 검색 건수, 올 들어 75% 급감

장안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6.05 07:48

수정 2018.06.05 07:48

■비트코인 반락…2.5% 내린 ‘7500$선’
4일(현지시간) 비트코인 가격이 7500달러 선으로 후퇴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오후 6시19분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2.51% 내린 7517.87달러에 거래됐다. 같은 시각 이더리움은 3.37% 낮아진 597.48달러를 기록했다. 국내 거래에서도 주요 암호화폐 가격은 대부분 내림세다. 빗썸에 따르면 같은 시각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1.66% 내린 826만3000원에 거래됐다. 비트코인캐시는 3.84% 하락한 122만5000원을 기록했다.


이날 비트코인 반락에도 댄 모어헤드 판테라캐피털 최고경영자는 중장기적 전망을 여전히 낙관했다. “향후 5~10년에 걸쳐 비트코인 매력도는 절대적으로 높다”며 “가격이 계속 뛰고 활용이 늘 경우 현재 4000억달러 수준인 시가총액이 4조를 넘어 40조까지 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출처=코인데스크
출처=코인데스크

■구글서 비트코인 검색 건수, 올 들어 75% 급감
비트코인 검색 건수가 올해 들어 75% 이상 급감했다고 미국 경제방송 CNBC가 구글트렌드 결과를 인용해 보도했다. 지난 3개월 동안은 5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니콜라스 콜라스 데이터트렉리서치 공동설립자는 “우리는 구글트렌드 검색결과를 잠재수요를 가늠하는데 활용하는데 이번 결과는 비트코인 가격에 불길한 조짐”이라며 “비트코인이 전 세계적으로 다시 주목받으려면 뭔가 새로운 재료가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최근 비트코인 가격은 7500달러 선에 머물며 연초보다 50% 밀린 수준이다. 지난해에는 1300% 이상 폭등, 거의 2만달러로 한해를 마쳤다.

출처=CNBC
출처=CNBC

■日 SBI, 현지 최초 은행 기반 암호화폐 거래소 출범
일본 금융대기업 SBI홀딩스가 현지 최초 은행 기반 암호화폐 거래소를 출범했다. 지난해 가을께 출범하려다가 코인체크 해킹사태 등으로 부득이하게 두 차례나 일정을 늦춘 것이다. ‘VC트레이드’라 불리는 이번 서비스는 지난 2017년 10월 플랫폼에 사전 등록한 사용자에게만 일단 제공된다. 올해 7월쯤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VC트레이드는 일단 리플 거래를 시작으로 비트코인·비트코인캐시로 서비스 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다. 구체적 진행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SBI홀딩스는 지난해 9월 암호화폐 거래소와 관련해 금융청의 영업허가를 획득한 바 있다.

■에스토니아, 국가 암호화폐 에스트코인 발행계획 축소
에스토니아가 국가 암호화폐인 ‘에스트코인’ 발행계획을 대폭 축소했다. 유럽중앙은행(ECB) 및 자국 은행당국 반발을 의식한 움직임으로 보인다. 에스토니아는 유로화에 연동한 암호화폐를 만들어 모든 시민에게 제공하겠다던 당초 계획을 없던 일로 했다. 대신 자국에 기업을 설립하거나 행정서류에 원격 서명하기 위해 전자신분증을 사용하려는 외국인 등에게 인센티브로 활용할 예정이다. 에스토니아는 지난 2017년 8월 국가 암호화폐를 발행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는 “유로화만이 에스토니아의 유일한 통화가 될 수 있다”며 이같은 계획을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뉴욕 주 의회, 암호화폐 TF 구성할 수도
미국 뉴욕 주 의회가 암호화폐 태스크포스(TF) 팀 구성 방안을 제안했다. 글로벌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유용성·입법현황을 조사하기 위한 TF 팀을 파견할 계획이다. 뉴욕 주는 블록체인 업계 리더가 되겠다는 바람에 따라 기술 활용 및 대중 인식을 늘리기 위한 암호화폐 규제 및 지침을 마련 중이다.
이번에 구성될 TF 팀이 이같은 움직임을 주도, 글로벌 업계상황을 파악하여 구체적 정보를 담은 보고서를 작성하게 된다.

지난 5월 말 회의 내용에 따르면 이번 제안이 의회 승인을 받을 경우 총 9명으로 구성된 TF 팀은 내년 말까지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현재 거래되고 있는 암호화폐 수와 각각의 시장점유율 △뉴욕 주에서 운영 중인 암호화폐 거래소와 각각의 월간 거래량 △암호화폐 채굴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량 △암호화폐 사용이 주·지방 세수에 미치는 영향 등이 담길 예정이다.

godblessan@fnnews.com 장안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