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硏 "경기 하강국면 韓, 금리 상승은 어렵다"

김경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6.17 14:30

수정 2018.06.17 14:30

미국이 또 금리를 인상했지만 한국은 금리를 올리기 어렵다는 진단이 나왔다. 국내 경기가 미국 만큼 뜨겁지 못해 금리 상승이 경기 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어서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7일 '6월 미국 금리 인상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미국과 금리 격차 확대가 불가피해 외국인 자금 유출 가능성이 있다. 위기가 일부에서 전반으로 확산하면 한국 경제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3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정책금리를 연 1.75∼2.0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미국은 완전 고용 수준의 노동 시장, 목표에 도달한 물가, 경제 확장세를 근거로 올해 추가로 금리를 2번 올려 총 4차례 인상할 것을 시사했다.


외국인 자금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한국도 금리를 올려야 하지만 국내 경기가 금리를 올릴 만큼 회복하지 못한 것이 문제다.

보고서는 "최근 경기 동행·선행 지수가 모두 하락세를 보이며 현재 경제 상황이 하강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신규 취업자 수는 5월 7만2000명에 그치는 등 고용 불안이 이어지고 있고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1% 중반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미국이 금리를 올해 총 4회 인상하면 정책금리는 2.25∼2.50%가 되면서 한미 금리 차는 0.75∼1.00%포인트까지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이에 따라 외국인 자금 이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최근 아르헨티나, 터키, 브라질 등 일부 신흥국의 위기 조짐도 불안을 키우는 요소다. 보고서는 현재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과 통화가치 절하율 기준 멕시코,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터키, 아르헨티나 등 5개국이, 국제통화기금(IMF) 위기 판단 지표에 따라 아르헨티나, 터키, 이집트, 미얀마, 남아공, 우크라이나 등 6개국이 고위험 국가라고 진단했다.

이들의 세계 국내총생산(GDP) 비중이나 한국 수출 비중은 높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인도, 폴란드, 필리핀 등까지 포함해 고위험군을 12개국으로 확대하면 이들의 세계 GDP 비중은 12.4%, 한국 수출 비중은 11.1%이므로 국내외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 흐름에 따라 추가경정예산 등으로 경기 회복세를 뒷받침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며 "취약 신흥국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한국 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심리를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