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S&P500지수 신고가 행진.. 사상 최장 랠리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8.22 16:54

수정 2018.08.22 16:54

강세장 진입 3453일째.. 300% 상승·시총 4배 증가
【 워싱턴=장도선 특파원】 미국 증시가 22일(현지시간)을 기해 사상 최장기 강세장이란 대기록을 수립하게 된다. 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강세장 신기록 수립 전날 장중 사상 최고치에 도달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언론들은 21일 S&P500 지수가 최장기 강세장 기록을 하루 남겨두고 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뉴욕 증시의 움직임을 가장 폭넓게 반영하는 S&P500은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 9일 666까지 하락, 바닥을 찍은 뒤 지금까지 20% 넘게 떨어지는 약세장을 경험하지 않고 상승세를 이어왔다. S&P500은 22일이 되면 강세 국면에 진입한 지 3453일째가 된다.

이 기간 S&P500 지수는 300% 넘게 올랐고, 시가총액은 4배 이상 불어났다.
또 대부분의 다른 주요국 증시와 비교해 좋은 성적을 거뒀다. S&P500은 무역전쟁과 신흥시장에 대한 우려를 극복하고 2018년에도 7% 넘게 올랐다.

S&P500의 소비자 자유재량 업종은 금융위기 저점 대비 600% 넘게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정보통신업종은 500% 이상 그리고 금융업종도 500% 가깝게 전진했다. 최근 몇 년간은 'FAANG'으로 불리는 대형 정보기술(IT) 업체들인 페이스북과 애플,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이 증시 상승을 선도했다. 이 기간 에너지와 텔레컴업종의 주가 상승률은 100%를 넘지 못해 가장 부진했다.

기존의 사상 최장기 강세장 기록은 1990년 10월부터 2000년 3월까지 3452일이었다. S&P500의 당시 상승폭은 417%로 이번 강세장을 앞섰다.

21일 S&P500은 장중 소비자 자유재량주와 산업주의 주도로 사상 최고치인 2873.23을 찍은 뒤 오름폭을 약간 반납하고 0.21% 오른 2862.96에 마감됐다. S&P500의 종전 최고치는 올 1월 26일의 2872.87이다. 다우지수는 0.25% 상승한 2만5822.29, 나스닥은 0.49% 전진한 7859.17에 각각 거래를 끝냈다.

■강세장 유지 전망 속 변수도

미국 증시가 사상 최장기간 강세장 유지가 가능했던 것은 미국의 견고한 경기회복, 기업수익 증가, 증시를 대신할 만한 경쟁력을 갖춘 투자대상 부족, 양호한 투자자 신뢰도 등으로 지적된다. 역사상 다른 강세장들과 비교해 장기간 지속된 수용적 통화정책 역시 증시 상승을 뒷받침했다. 여기에 최근 들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한 세제개혁 성사와 재정지출 확대, 규제완화 등 친기업 정책들도 증시에 추가 동력을 제공했다.

WSJ는 높은 증시 밸류에이션이 추가 상승폭을 제한할 수 있지만 많은 포트폴리오 매니저와 투자자들은 현재 증시를 주도하는 기술업종의 양호한 건강과 미국 경제의 폭넓은 체력이 앞으로 몇 분기 더 주가의 상승 흐름을 유지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증시의 추가 상승을 가로막을 수 있는 장애물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들린다. 글로벌 무역전쟁, 터키 외환위기 등 신흥시장 혼란, 지정학적 위기 그리고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인상이 강세장 지속을 위협할 변수로 지적된다.

프루덴셜파이낸셜의 수석시장전략가인 퀸스 크로스비는 CNBC에 "시장은 지금보다 더 높이 올라 이전의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기 원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시장은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이슈들 위를 여전히 맴돌고 있으며 무엇보다 큰 이슈는 연준"이라고 지적했다.

연준의 점진적 금리인상과 대차대조표 축소는 경제 전반의 자금조달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경제성장세를 둔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연이어 연준의 금리인상에 불만족스럽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도 이 때문이다. 무역전쟁으로 미국의 수입물가가 크게 올라 인플레이션 상승세가 빨라질 경우 연준의 통화정책이 더 공격적으로 바뀔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미국 국채 수익률이 상승하는 것도 증시에는 불안요인이다.

jdsmh@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