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오락가락 통계 논란] 통계혼선 막으려 없앴다더니.. 소비성향·흑자액 1년만에 부활

장민권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9.11 17:20

수정 2018.09.11 17:20

가계동향조사 재통합.. 가계소비 추이 파악에 용이
2020년 소득.지출 재통합.. 통계청 "기관들 요구 많아"
2017~2018 공백이 문제.. 변경 이유도 명확지 않아
2019년 통계 만들더라도 2016년과 비교해야할 판
[오락가락 통계 논란] 통계혼선 막으려 없앴다더니.. 소비성향·흑자액 1년만에 부활

가계의 소비여력을 파악할 수 있는 평균소비성향, 흑자액 등 주요 소비지출 지표가 2020년부터 다시 산출된다. 통계청이 지난해부터 소득과 지출 부문으로 분리했던 가계동향조사를 재통합하기로 결정하면서다.

소득과 지출 통계의 산출시점 차이가 발생하면서 통계 해석에 혼란이 생길 수 있다는 이유로 작성이 중단된지 1년여 만에 통계를 다시 만들기로 결정한 것이다. 다만, 2017~2018년 관련 통계의 공백이 생긴 상황에서 시계열 단절과 표본 연속성 문제를 겪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평균소비성향 통계 부활

11일 통계청 관계자는 "기존에 평균소비성향이나 흑자액 등을 활용하던 기관 등에서 해당 지표들을 다시 산출해달라는 요구가 많았다"면서 "2020년부터 가계동향조사가 통합돼 한 가구에서 소득과 지출이 같이 조사되면 관련 지표들을 다시 작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초 평균소비성향, 흑자액, 흑자율 등의 가계소비 지표들은 지난 2016년까지 가계동향조사에 포함돼 발표됐다.
평균소비성향, 흑자액 등의 지표는 소득과 소비지출을 연계해 산출된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그러다 지난해 가계동향조사의 소득 및 지출 통계의 산출시기가 각각 분기별, 연간으로 개편되자 산출시점의 차이가 발생했다. 소득지표는 가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전년 연간소득을 기준으로 통계가 산출되는 데 비해 지출은 당해연도를 기준으로 삼기 때문이다.

이에 통계 해석에 혼란이 생길 수 있다는 이유로 2016년을 끝으로 생산이 중단됐다. 관련 통계가 첫 작성된 2003년 이후 14년 만이었다.

그러다 통계청은 2020년부터 가계소득과 지출 부문을 재통합하기로 결정했다. 현행 방식과 같이 소득 부문(8000가구)과 지출 부문(1만2000가구)의 표본을 따로 구성하는 대신 단일 표본을 구성하고, 시계열도 6개월 단위로 변경하는 것을 검토키로 했다. 가계동향조사를 소득과 지출 부문으로 분리한 지 1년여 만에 나온 결정이다.

이에 따라 소득과 지출 통계 시계열이 동일해지면서 평균소비성향, 흑자액 등의 생산도 가능해지게 됐다. 가계의 소비여력, 소비패턴 등을 분석하기 한층 용이해질 것으로 보인다.

가계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평균소비성향의 경우 올라갈수록 가계가 소비를 늘리고, 반대의 경우 소득에 비해 씀씀이는 줄인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국회 예산정책처 등 국내 주요 연구기관들도 평균소비성향 통계를 활용해 가계소비 추이를 파악해오고 있다.

■시계열 단절로 정확도 하락

가령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소득분배구조 악화는 평균소비성향 하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꼽힌다.

고소득층은 저소득층에 비해 일반적으로 한계소비성향이 낮게 나타나는데, 소득분배구조 악화로 고소득층에 소득이 집중되고 저소득층의 소득기반이 취약해지면 소비가 침체돼 평균소비성향도 하락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2010년 77.3%에서 2016년 71.1%로 떨어졌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흑자액은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일종의 '여윳돈'이다. 가계가 소득 대비 지출을 얼마나 했는지 파악하기 용이한 지표다. 흑자액이 많을수록 가계가 소비를 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지난 2016년 기준 전국 2인 이상 가구당 월평균 흑자액은 103만8000원에 그쳐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를 나타냈다.

다만, 과거 시계열과의 단절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17~2018년 통계 공백이 발생하면서 향후 2019년 기준으로 통계가 생산되더라도 3년 전인 2016년과 수치를 비교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소득과 지출 자료가 분리된 2017~2018년의 전체 시계열 연계 가능 여부를 검토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통계 생산 여부를 번복한 통계청의 오락가락 설명도 논란이다.
통계청은 평균소비성향 등 통계 작성 중단을 결정할 당시만 해도 "일본 등을 제외하면 평균소비성향을 작성하는 나라는 많지 않다"고 밝힌 바 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