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은행

'황금알' 부동산신탁 판이 흔들린다

박하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9.30 17:27

수정 2018.09.30 17:27

10년만에 신규인가 허용
중대형 금융사 줄줄이 진출, 신한금융·우리은행 적극적.. 인수-직접진출 놓고 저울질
금융사들 뛰어드는 이유
다른 사업보다 수익성 높고, 계열사와 시너지에도 적합
'황금알' 부동산신탁 판이 흔들린다


정부가 10년 만에 부동산신탁사 신규 인가 방침을 밝히면서 부동산신탁 시장에 격변이 예고되고 있다. 신한금융그룹과 우리은행을 비롯, 중대형 증권사들까지 모두 부동산신탁업 진출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특히 신한금융은 현재 아시아신탁 외에도 3~4곳을 검토 중인데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 자체 진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우리은행도 직접진출과 인수합병(M&A)을 놓고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자금력을 갖춘 플레이어들이 시장에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부동산신탁 시장에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9월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우선 신한금융은 현재 아시아신탁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협상을 진행 중인데 지분 50%를 2000억원에 인수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신한금융은 현재 3~4곳의 부동산신탁사에 대한 내용도 검토 중이며 인수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 자체 진출 가능성도 열어놓고 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주도적으로 사업을 할 수 있으려면 5대 5의 지분율은 좀 아쉽다"면서 "자체 진출도 배제하고 있지는 않지만 기존 신탁사들이 다져놓은 입지를 활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

아시아신탁은 지난해 말 기준 영업수익이 640억원으로 11개 부동산신탁사 중 7위에 해당한다. 금융지주사 계열의 KB부동산은 지난해 말 기준 767억원, 하나자산은 684억원의 영업수익을 기록했다. 신한금융이 아시아신탁을 인수하면 KB, 하나금융에 이어 7위로 올라설 수 있다.

신한금융은 시기를 못 박지 않았지만 앞서 오렌지라이프(옛 ING생명) 인수 때처럼 긴 시간이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어서 이르면 연내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은행도 직접진출과 M&A 사이에서 저울질을 하고 있지만 지주사 전환이라는 더 큰 과제가 있는 만큼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우리은행 측은 "인수 쪽으로 좀 더 비중을 두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매력적인 매물이 보이지 않는다"면서 "당국의 신규 인가 가이드라인이 나오는 것을 본 뒤에 명확한 방향 설정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국의 신규 인가 방침에 따라 금융사들이 대거 진출을 예고한 것은 부동산신탁업의 높은 수익성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7년 부동산신탁사 11개사의 총 영업이익은 6719억원으로 2013년 1651억원에 비해 4배 이상 급증했다. 특히 수익성 높은 차입형(신탁사가 공사비 등 자금을 우선 조달하고 이자와 신탁수수료를 받음) 보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26.9%에서 2017년 42%로 급증했다.

고액자산가들의 수요가 증가하는 것도 중요한 이유다. 은행권 관계자는 "금융자산이 30억 있는 고객이라면 부동산은 70억이 있다고 가정할 때 이들로부터 건물 관리, 빌딩 임대 등의 수요가 나오기 때문에 지주사 입장에선 포기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또 금융지주사들로선 이자수익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비이자수익 확보 차원에서도 필요하다.

다만 자금력을 갖춘 금융사들이 대거 뛰어들면서 레드오션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현재 증권사 중에선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등 대형사는 물론 KTB투자증권, 부국증권 등 중소형사도 인가신청을 준비하고 있다.

wild@fnnews.com 박하나 최경식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