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자동차-업계·정책

현대위아, 100년 만에 새로운 車 구동축 개발 성공

성초롱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1.22 12:04

수정 2019.01.22 12:04



현대위아의 한 연구원이 22일 경기도 의왕시 현대위아 의왕연구소에서 ‘기능통합형 드라이브 액슬(IDA)’을 시험하고 있다. 사진=현대위아 제공
현대위아의 한 연구원이 22일 경기도 의왕시 현대위아 의왕연구소에서 ‘기능통합형 드라이브 액슬(IDA)’을 시험하고 있다. 사진=현대위아 제공
현대위아가 기술적 한계로 100년 넘게 바뀌지 않았던 자동차의 구동축 구조를 바꾸는데 성공했다.

현대위아는 자동차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핵심 부품 '기능통합형 드라이브 액슬(IDA)'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IDA는 엔진에서 나온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축인 '드라이브 샤프트(등속 조인트)'와 이를 바퀴에 연결하는 '휠 베어링'을 하나로 통합한 제품이다. 드라이브 샤프트와 휠 베어링을 하나로 만든 구동축을 개발한 것은 전세계 자동차 부품사 중 현대위아가 유일하다.


현대위아가 개발에 성공한 IDA는 1920년대 드라이브 샤프트 개발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쓰인 자동차 바퀴의 연결 방식을 완전히 바꾼 부품이다. 현재 양산되는 모든 자동차는 변속기에서 나온 동력을 드라이브 샤프트가 바퀴에 붙어 있는 휠 베어링까지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동되는데, IDA는 드라이브 샤프트 끝 부분과 휠 베어링으로 이어지는 부분을 일체화한 것이 특징이다.

현대위아 관계자는 "기존 구동축은 마치 볼트와 너트가 만나는 것처럼 이어져, 연결 부분에서 문제가 종종 발생해 왔다"며 "IDA는 드라이브 샤프트와 휠 베어링으로 이어지는 부분을 일체화해 두 부품이 연결되는 곳에서 생기는 불량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하나의 부품으로 만들면서 강성을 기존 제품보다 55% 가량 높이고, 무게를 10% 이상 줄였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이다.

현대위아는 IDA가 자동차에 적용되면 승차감과 핸들링 성능(R&H)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고있다. 바퀴로 동력을 이어주는 부분에 달린 베어링의 직경을 종전보다 40% 이상 키우면서 최소 회전반경이 크게 줄었다는 이유에서다.

2012년 처음 IDA 개발에 착수한 현대위아는 제품의 최적화와 품질 강화를 위해 총 6번의 시제작과 2000회 이상의 사전 테스트를 진행했다. 제작과정에서는 기술과 품질을 인정받아 해외 2건, 국내 15건 등 총 17건의 특허를 출원하며 경쟁사와의 기술 경쟁을 선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아울러 올해 초에는 현대자동차그룹 내 최고 권위인 '변화와 혁신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현대위아는 IDA를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에 최초로 적용할 예정이다.
이후 적용 차종을 지속적으로 늘려, 글로벌 완성차 업체를 공략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longss@fnnews.com 성초롱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