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기자수첩

[기자수첩] 대우조선 공적자금 회수 해법 찾기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2.07 17:32

수정 2019.02.07 17:32

[기자수첩] 대우조선 공적자금 회수 해법 찾기

지난주 대우조선해양 매각 발표는 전격적이었다. 현지 조선소 경영진조차 모를 정도였다.

그러나 알고 보면 매각과정은 상당히 계획적이었다. 지난해 9월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은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대우조선해양을 비롯한 구조조정 대상기업과 관련, "경쟁력을 갖추면 언제든 매각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후 한 달이 지난 지난해 10월 금융당국은 조선업 업황 점검회의를 열고 향후 조선업 동향과 전망을 발표했다.

국내 조선업 수주가 올해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해 업계 전반의 회복세를 전망했다.
그리고 올해 1월 대우조선해양을 현대중공업에 매각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조선업 회복기가 시작됐다고 판단하는 시점에 조선업 회복 전망과 맞물려 매각일정을 내놓은 셈이다.

관건은 적절한 시기와 조선업 상황이었다.

현재 매각절차는 하나하나 해법을 찾아가는 모양새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은 합병 대신 독립체로 존속할 계획이다. 이 경우 일정 기간 양사 직원들의 고용이 보장된다. 이어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업무중복과 관련, 양사는 각 사가 가진 첨단기술을 공유키로 했다. 이를 통해 기술적 시너지 효과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그렇다면 공적자금 회수는 어떨까.

대우조선해양 매각 발표일 기자들을 만난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지금 이야기하기에는 너무 빠른 것 같다"며 답변을 유보했다.

이동걸 산은 회장도 "장기적으로 조선산업을 정상화해서 경쟁력을 높이고, 그 결과로 중장기적으로 공적자금을 회수하는 차원의 문제"라고 말했다.

역시 적절한 시기와 조선업 상황이 우선이었다.


인력감축에 대해 당초 정부는 "이미 대우조선해양에서 대규모 구조조정이 진행됐고, 추후 조선업이 호황기를 맞으면 오히려 추가 인력채용이 필요할 것"이라며 인력감축이 없다는 것을 설명했지만 우려는 여전하다.

정부가 막연한 설명 대신 독립체 존속이라는 해법을 제시하자 조금이나마 현실적 수긍을 얻었다.
공적자금 회수 문제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금융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