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노후 인프라 개선, 지금이 골든타임](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19/02/21/201902211726150202_s.jpg)
큰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는 같은 원인으로 인한 29건의 작은 사고와 300건의 잠재적 징후들이 있다는 하인리히의 법칙이 있다. 사고 이전 나타나는 징후에 대해 상세하게 조사하고 그 원인을 파악해서 잘못된 점을 시정한다면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이런 징후가 있었음에도 이를 방치하고 무시하면 돌이킬 수 없는 대형 사고로 번질 수 있다는 것을 경고하는 뜻이기도 하다.
작년에 유달리 끔찍한 사고 소식들이 자주 들렸다. 지난해 12월 경기 고양 백석역 인근에서 온수관이 파열되는 사고로 시민 1명이 숨지고, 23명이 다쳤다.
최근 연구 결과에서 서울 시내에 30년 넘은 다리와 지하철, 터널 등 노후화된 도시 인프라가 10년 뒤면 절반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한 지 20년 넘은 노후 열수송관이 전국적으로 700곳에 가까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대로 노후 인프라를 방치한다면 몇 년 후에는 어떤 사태가 일어날지 명약관화하다.
이처럼 우리 주변에 있는 인프라가 더욱더 노후화되기 전에 지금 당장이라도 개선해야 하지만, 올해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은 노후 인프라 개선에 필요한 적정 수준에 못 미치는 19조8000억으로 편성됐다. 뿐만 아니라 2018~2022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향후 인프라 예산은 연평균 2.0%씩 축소돼 2022년에는 17조5000억원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대조되는 것이 우리보다 10~20년 먼저 인프라 노후화를 겪은 일본의 사례다. 일본 정부는 동일본 대지진과 사사고 터널 붕괴사고를 계기로, 국가 차원의 '인프라 장수명화 기본계획'을 마련하는 등 2013년에 인프라 노후화에 대응하기 위해 쓴 비용이 전체 SOC예산의 35%인 약 3조6000억엔(약 37조원)이다. 작년 트럼프 정부도 미국 내 노후 인프라 재건을 위해 1조5000억달러에 달하는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기로 발표한 바 있다. 이처럼 미국, 일본 등 선진국들은 노후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있다.
다행히도 올해 국민안전을 위한 SOC예산을 확보할 기회가 없지는 않다. 지난해 정부가 계획했던 것보다 더 걷어들인 세금이 25조4000억원에 달해 정부 수립 이후 최대 규모인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국민안전 확보를 위해 더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펼 필요가 있다. 노후 인프라를 당장이라도 개선할 수 있도록 올해 추경에 노후 인프라 개선 관련 예산을 확대 편성하고, 선진국 사례들을 본보기로 삼아 노후 인프라 개선에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노후 인프라에 대한 정부재정 여력이 부족하다면 민간의 풍부한 여유자금을 활용하는 민간투자 방식으로도 노후 인프라를 개선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하인리히 법칙에서 시사한 바와 같이 노후 인프라로 인한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노후 인프라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지 말고 노후 인프라에 대한 투자 및 민간투자사업 방식 추진 등을 통해 노후 인프라를 하루라도 빨리 개선해야 할 것이다.
정병윤 대한건설협회 상근부회장
※외부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