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절단 유전체 시퀀싱 기법 활용 … 인간 유전체 32억 개 중 평균 60곳 변이




최신 유전자 교정기법인 염기교정 가위(Base Editor)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킬 방법이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교정 연구단은 DNA 염기 중 아데닌 염기만 바꾸는 아데닌 염기교정 유전자가위(Adenine Base Edito)’의 정확성을 규명하고, 이를 증대시킬 방법을 국제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Nature Biotechnology)에 소개했다.
생명체에 관한 모든 정보를 담은 DNA는 네 개의 염기가 서로 쌍(아데닌(A)-티민(T), 시토신(C)-구아닌(G))을 이뤄 만든 서열로 구성되어 있다. 염기교정 가위는 단일 염기 하나만을 바꿀 수 있는 인공제한 효소로 2017년 학계에 보고된 아데닌 염기교정 가위는 아데닌(A)을 구아닌(G)으로 바꿀 수 있다.
염기교정 가위는 난치성 유전질환 연구와 치료에 진전을 가져올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IBS 연구진은 인간 유전체 DNA에 유전자가위를 처리한 뒤, 처리 전과 후를 비교하는 절단 유전체 시퀀싱(Digenome-seq) 기법을 변형해 정확성을 파악했다. 기존에는 DNA 두 가닥 절단이 유도되어야 했기에 이번 연구에서는 한 가닥만 자르는 염기교정 가위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특정 효소(Endo V, 이노신 특이적 절단 시약)를 추가했다.
실험 결과, 아데닌 염기교정 가위는 인간 유전체 32억 개 중 평균 60곳에만 변이를 일으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연구진은 아데닌 염기교정 가위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했다.
먼저, 교정할 염기를 찾아가는 가이드RNA 말단에 구아닌 염기를 추가해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표적위치에서 작동 효율을 높이고, 오작동할 확률을 낮출 수 있다고 소개했다. 정확성이 높다고 알려진 Sniper 유전자가위로 아데닌 염기교정 가위를 만들면 오작동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아데닌 염기교정 가위를 DNA(Plasmid DNA)에 싣지 않고 탈아미노효소와 가이드RNA를 혼합한 형태로 세포에 직접 전달하는 방식도 정확도를 향상시켜 표적위치만 자를 수 있음을 입증했다.
연구진은 “염기교정 가위의 정확성이 입증된 만큼 앞으로 이를 활용해 단일 염기 변이를 유도하거나 교정해야 하는 유전자 및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고부가가치 농축산물 품종 개량 등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생명공학 분야 권위 있는 학술지‘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Nature Biotechnology, IF 35.724) 에 3월 5일 새벽 1시(한국시간)에 게재되었다.
IBS 유전체 교정 연구단은 2018년 4월 아데닌 염기교정 유전자가위로 동물의 특정 유전자 염기를 바꾸는데 최초로 성공해 같은 학술지에 연구성과를 게재한 바 있다. 2015년 자체 개발한 분석법(Digenome-seq)을 통해 3세대 유전자가위인 크리스퍼 Cas9과 크리스퍼 Cpf1은 물론 시토신(C)을 티민(T)으로 바꾸는 시토신 염기교정 가위의 정확성도 규명해 학계에 보고한 바 있다.
seokjang@fnnews.com 조석장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