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컴퓨팅

삼성SDS, 클라우드 보안 '해결사' 나선다

김아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3.14 14:44

수정 2019.03.14 14:44

삼성SDS 홍원표 대표가 14일 삼성SDS 잠실 캠퍼스에서 개최한 클라우드 보안 미디어데이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삼성SDS 제공
삼성SDS 홍원표 대표가 14일 삼성SDS 잠실 캠퍼스에서 개최한 클라우드 보안 미디어데이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삼성SDS 제공
삼성SDS가 국내 클라우드 산업 시장이 본격화 됨에 따라 최고 수준의 보안 토털 서비스를 내놓는다.

삼성SDS는 14일 서울 잠실동 본사 마젤란홀에서 개최된 미디어데이를 통해 클라우드 보안의 특징과 위협을 소개하고 삼성SDS의 기술과 경험이 축적된 서비스를 발표했다.

홍원표 삼성SDS 대표는 "클라우드가 점점 다양화 되고 복잡해 지면서 관심 뿐 아니라 이슈도 많이 생기고 있다"라며 "삼성SDS는 사이버 보안 관련, 삼성의 전 관계사에 서비스를 하고 있다. 오랜기간 동안 사이버 보안과 관련해 축적된 노하우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보안 토털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운을 뗐다.


삼성SDS는 △들어오지 못하게 △나가지 못하게 △나가도 쓸모없게 라는 클라우드 보안 토털 서비스의 3대 보안 원칙을 세웠다.

한성원 보안사업담당 상무는 "사이버 범죄 피해 규모는 마약과 유사한 수준"이라며 "사이버 범죄는 주변에 항상 도사리고 있는 잠재된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외부공격 침입방지, 내부정보 유출방지, 유출 후에도 쓸모없게 중요정보 보호의 3원칙을 지키기 위해 삼성 SDS는 인공지능(AI), 크립토, 지능형사이버위협대응(TI) 기술을 사용한다"라고 설명했다.

오영석 보안기획그룹장은 "클라우드의 경우 보안을 유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자동으로 서버가 늘어나는데 이때 보안도 신속하게 확장되서 서버를 보호해야 한다"라며 "탄력적으로 보안이 제공이 되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삼성 SDS는 보안관제 공백시간을 제로화 시켰다. 20년간 축적된 역량을 바탕으로 AI기술을 활용해 해킹 분석·탐지 기능을 향상시켜 24시간 365일 관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실제 삼성 SDS의 클라우드 보안 기술은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내 최초 '아마존웹서비스(AWS) 보안 역량 인증'을 받았다. 또 삼성SDS만의 시큐리티 인덱스라는 진단 항목을 설정해서 고객에게 가이드를 최적화한다.
클라우드 시큐리티 포털을 통해 고객과 시스템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콘텐츠도 제공한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일본, 프랑스, 덴마크와 한국의 SDS 등 4곳 에서만 글로벌 보안표준기구의 강도를 만족한 화이트박스 암호기술을 가지고 있다.
삼성 SDS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없이 그대로 분석함으로써 개인정보 등 민감한 데이터 유출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동형암호 기반 분석 기술도 올해 안에 상용화 할 계획이다.

true@fnnews.com 김아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