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피플일반

[fn이사람]김지곤 KEISA 회장 "원전 안전관리, 정부 에너지 전환정책의 핵심"

김주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3.17 18:07

수정 2019.03.17 18:07

원전 경상정비 소수 회사가 독점
안일하게 운영한 탓에 사고 빈발
플랫폼 구축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fn이사람]김지곤 KEISA 회장 "원전 안전관리, 정부 에너지 전환정책의 핵심"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라 원전사업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미국 스리마일, 옛 소련 체르노빌, 일본 후쿠시마 등 세계 3대 원전사고 사례를 살펴보면 천재지변으로 인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시관리 기술인력의 사소한 실수가 돌이킬 수 없는 참담한 비극을 낳았다.

17일 기자가 만난 김지곤 한국에너지산업중소사업자연합회(KEISA) 회장(사진)은 장기적이고 점차적인 탈원전 정책의 핵심을 '원전 안전관리'로 꼽았다.

김 회장은 지난 2017년 에너지산업 분야에 대해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친환경 미래형 신사업' 발굴 및 육성을 목표로 KEISA를 설립했다. 발전정비업체와 발전설비제작업체 등을 비롯, 국내 회원사는 현재 모두 118개이며, 4곳의 해외업체와 기술제휴도 하고 있다.

김 회장은 "최근 태안석탄발전소 경상정비 운전인력 안전사고에서 얻은 교훈에서 알 수 있듯이 그 무엇보다 원전의 경상정비 인력관리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러나 국내 원전과 화력발전소 경상정비는 공기업의 정비 독과점에 대한 대안으로 소수의 특정 민간 정비회사가 육성돼왔고, 이를 위해 관행적으로 수의계약 방식에 의한 수주가 행해져왔다"고 지적했다. 결국 선택받은 소수의 정비업체가 현실적 안주로 인해 안전교육 내지는 안전관리 감독을 소홀히 한 게 인명사고의 한 원인이라고 그는 지적한다.

그는 "같은 맥락에서 볼 때 태안 석탄발전소 안전사고의 핵심 원인 역시 고(故) 김용균씨 소속회사의 안일한 운영에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소속회사가 경비를 절감하기 위해 경험이 부족한 신입직원을 인솔자 없이 현장에 투입했다는 점은 대중의 이해를 구하기 어렵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김 회장은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에너지 업종 간 경계를 허무는 동시에 시너지 역할을 할 수 있는 '에너지산업 플랫폼비즈니스' 구축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민간 중소기업들의 계약체결 시 약점 극복, 에너지 공기업의 설비 안정화, 정부의 신규 기업육성정책을 통한 일자리창출이라는 정책적 기대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김 회장은 에너지와 신기술의 접목도 강조했다.
그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클라우드를 활용해 빅데이터 분석 등을 적용한 종합적인 정보분석 시스템 실현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에너지와 신기술의 접목은 급변하는 에너지 환경에 시의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해 국가기간산업인 에너지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앞으로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는 에너지산업 구축을 위해 관련 업계의 구조적 개선방안 등을 정부 측에 적극 건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ju0@fnnews.com 김주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