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2019지진포럼] 김복철 원장, 정부와 지자체간 유계적 연계강화 필요

이유범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3.20 12:52

수정 2019.03.20 12:52

김복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은 20일 '제3회 지진포럼' 기조강연에서 "행정안전부, 기상청, 과학기술정통부 및 지방자치단체간 유기적 연계강화가 이뤄져야 한다"며 "일본의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와 같이 지진·단층 관련 업무 관리 중앙 컨트롤 타워 신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지질연구만 30년 '외길' 인생을 걸어온 인물다. 지난해 8월 지질연구원 취임 직후 '활성지구조연구단'을 신설하는 등 지진 예측에 공을 들이고 있는 상황이다.

그는 한서쪽의 유라시아판과 동족의 태평양판, 필리핀 판이 한반도를 중심으로 응력을 축척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로인해 한반도의 지진 재발주기가 길고, 발행경향이 불규칙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김 원장은 지난 2011년 일어난 동일본대지진의 여파가 컸다는 분석했다.


그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한반도의 지각이 변형됐다며 "일본 대지진 직후 한반도가 일본쪽으로 1~5cm 이동했고, 발생 3년후에는 3~8.5cm 이동했다"고 분석했다.

김 원장은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일본 및 한반도 등 동아시아 지역의 땅속 응력이 변화를 일으키고 있고, 땅속의 어마어마한 스트레스가 어딘가에 모여있다가 언제 어디서 터져 나올지 모른다는 지적이다.

그는 지진 단층 연구과 지진 예고와 관련한 기술체계 확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지진 피해가 많은 일본은 1980년대에 '활성단층 지도'를 완성했지만 우리나라는 2016년과 지난 2017년 1년 간격으로 발생한 경주와 포항지진으로 인해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김 원장은 "지진과 관련해 상대적으로 일본보다 안전하지만 한반도 역시 지진이 일어날 원인이 많다"며 "지진 피해를 최소화를 위해서는 지진 단층 연구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지진예측'에 대한 기술 개발 필요성도 지적했다. 지진예측은 지금까지 거의 불가능한 연구로 여겨졌다. 지진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땅속 수많은 변수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본은 지난 2003년부터 대규모 지진예측 프로젝트 '난트로사이즈'(NanTroSEIZE)를 진행하고 있다. 지진은 지반 내 물성 변화로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지반 내 응력변화, 중력장 변화, 저항변화, 자연 가스 방출 등의 변화를 추적관찰하고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춰야 한다.

김 원장은 "결과적으로정부와 지자체, 산학연, 국민들의 유기적 연계가 지진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정부는 체계적 지진 연구 지원 및 피해 최소화에 나서고, 지자체는 지역거점 지진 대응 기술의 선제적 적용이 필요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산학연은 지진연구 혁신 및 선제적 지진 대응 기술을 마련하고, 국민들은 지진에 대한 이해, 국민 행동요령 등을 적극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덧붙였다. 특별취재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