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기업

[구원투수로 떠오른 비메모리 반도체] 호황기에도 시달린 인재난… 연구·엔지니어 투트랙 양성 시급

조지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4.08 17:42

수정 2019.04.08 19:27

(중) 육성 방안은
우수 인재, 서울 근무 선호하지만 수도권 규제로 인재 확보 어렵고 석·박사급 고급인력 배출도 줄어
R&D 위한 석·박사 육성 힘쓰고 현장에 필요한 엔지니어 키워야
[구원투수로 떠오른 비메모리 반도체] 호황기에도 시달린 인재난… 연구·엔지니어 투트랙 양성 시급

[구원투수로 떠오른 비메모리 반도체] 호황기에도 시달린 인재난… 연구·엔지니어 투트랙 양성 시급

한국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책임질 비메모리 분야의 성장은 무엇보다 우수 인재 양성이 관건이다.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특성이 기술집약적인데다 다품종 소량생산인 만큼 인력 확보에 따라 경쟁력이 좌우돼서다. 그러나 한국 반도체 산업은 메모리 분야에 편중된 현 시점에서도 인력 부족에 허덕이는 게 현실이다.

이 때문에 반도체 업계와 전문가들은 국가 연구개발(R&D)과 연계한 고급 연구 인력과 제조기업에서 필요한 역량을 갖춘 엔지니어 양성 등 '투 트랙' 방식의 지원 정책을 요구하고 있다.

■호황기에도 인력 부족에 '끙끙'

8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초호황 시기에도 전문인력 부족 현상이 계속됐다. 최근 반도체 시장의 호황으로 인력 수요가 늘어나면서 인력 가뭄은 가중됐다.


실제 산업통상자원부가 실시한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에서 지난 2017년 기준 반도체 분야의 산업기술인력 부족인원은 1423명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인력 부족률은 1.5%를 기록한 2015년 이후 개선되지 않고 3년째 제자리다. 반도체 분야의 산업기술인력은 최근 9만명 안팎에서 사실상 변화가 없다.

반도체 산업이 인력 부족 현상을 겪는 이유는 기업에서 요구하는 자질을 갖춘 인력이 없거나 해당 직무의 전공자가 수요만큼 충분히 공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에서도 반도체 분야의 인력 부족 발생 사유로 '직무수행을 위한 인력 부족'이 30.2%로 가장 많았다. 직무와 인력의 '미스매치'가 부족 현상의 주된 요인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전문가들은 석·박사급 이상의 고급인력 배출이 증가하기는커녕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인력이 부족한 가장 큰 이유로 꼽는다. 산업이 발전하면서 석·박사급의 고급인력이 필요하지만 국내 대학에서 학부 이상의 반도체 분야를 전공하는 석·박사들은 줄어드는 추세다.

실제, 서울대 반도체 분야에서 연간 배출된 석·박사 수는 지난 2006년 97명에서 지난 2016년엔 23명을 기록하며 70%이상 감소하기도 했다. 지난 2017년 40명선을 회복했지만 여전히 10여년 전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학계의 우수 논문 수도 지난 2014년부터 중국에 추월을 허용하면서 최근 2배 가량 격차가 벌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엔지니어들의 지방 근무 기피 현상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거론된다. 기술인력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은 확대 추세 속에 있다. 수도권의 산업기술인력 비중은 지난 2014년 48.1%에서 지난 2017년 49.0%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말 우수 연구인력 확보를 위해 경기도 분당 SK-U타워를 3000억원에 인수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우수한 인재일수록 지방보다는 서울 및 수도권 근무를 선호하지만 수도권 집중에 대한 규제로 인해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고급인력·엔지니어 이원화 육성 필요

비메모리 반도체 육성을 위해선 인력 양성에 중점을 둬야 한다는 게 업계와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대기업 위주보단 생태계 강화를 위해 국가 R&D 추진을 위한 고급인력과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엔지니어 육성의 '이원화 인재 양성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를 신성장동력으로 삼아 미래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선 R&D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석·박사 육성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된다. R&D 기술력과 이를 위한 인재 확보에 시장 패권이 달려있기 때문이다.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 "석·박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선 대학에서 연구과제를 수립하고 진행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대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반도체 산업계가 요구하는 직무역량과 기존 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불일치로 발생하는 '미스매치'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업들의 수요와 연계한 전문 인력 양성제도를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정부나 대학의 반도체 공정과 소재 관련 교육이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것과는 동떨어진 경우가 많다"면서 "산학 연계를 더욱 강화해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gmin@fnnews.com 조지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