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美 3%대 성장 3~5년 더 간다" vs. "조만간 고꾸라질 것"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4.28 17:02

수정 2019.04.28 17:02

1분기 3.2% 깜짝 성장
백악관 "트럼프 정책 먹혔다" 장기성장 기반 마련 자신감
"기업 투자 둔화로 돌아서 생산성 증가 발목" 비관론도
"美 3%대 성장 3~5년 더 간다" vs. "조만간 고꾸라질 것"

미국의 1·4분기 깜짝 경제성장은 노동공급·생산성 증가라는 공급 측면의 성장이 주된 배경인 것으로 분석됐다. 공급 측면 강화는 단기성장을 유도하는 감세, 재정지출 확대 같은 수요확대 정책과 달리 장기적 성장의 바탕이 된다. 백악관은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정책이 먹혀드는 것이라면서 3%대 성장률이 앞으로 3~5년 더 갈 것이라고 자신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내년 재선에도 청신호가 켜지게 된다.

이 같은 분석이 맞다면 세계 경제는 공급측면 강화에 따른 성장이 토대가 될 미국의 저금리 기조 지속, 심리안정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경험할 수 있지만 보호주의가 미국 경제체질을 강화하고 있다는 자신감으로 이어지면 무역분쟁 확대라는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 한편 일부에서는 공급 측면이 강화된 것은 아니라면서 인구 고령화 등을 감안할 때 미국의 높은 성장세는 조만간 고꾸라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비관도 나오고 있다.


■美, 골디락스 진입하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현지시간) 미국 경제의 공급 측면이 강화되고 있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전날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1·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3.2%(연율기준)'가 이를 시사한다는 것이다. 노동공급이 증가하고 이들이 사용하는 도구, 기계 등 설비가 확대돼 노동생산성이 높아지면서 높은 성장세가 지속가능해졌다는 것이 WSJ의 분석이다.

공급측 확대 지속은 경제에는 더할 나위 없는 최선의 시나리오다. 공급 측면이 강화되면 경제는 성장을 계속해 가계소득이 높아지고, 그 대신 수요확대와 달리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 압력은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높은 실질소득이 유지된다. 장기적인 성장의 바탕이 마련된다.

정부가 감세나 재정지출 확대 등을 통해 유효수요를 끌어올리는 재정수요 확대정책이 단기적인 대응인 것과 대조적이다. 수요확대 정책이 오래가지 못하는 것은 노동력 공급 증가와 생산성 증가 없이는 수요 확대가 자체 동력으로 지속할 수 없고, 경제적 자원을 소진해 결국 인플레이션과 중앙은행의 금리인상을 불러 성장세에 제동이 걸리기 때문이다. 더 높은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노동이나 자본공급 확대, 또는 기술혁신과 생산성 증가와 같은 공급 측면 강화가 필수적이다.

다음달 2일 노동부가 발표하는 1·4분기 노동생산성 추계치, 3일 역시 노동부가 발표하는 4월 고용동향은 미국 경제의 높은 성장세가 지속될지 여부를 판가름하게 해주는 잣대가 될 전망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지표들만으로 봤을 때 노동생산성은 높아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매크로이코노믹 어드바이저스는 노동생산성이 지난 분기 2.3% 높아져 미국 경제가 침체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고용 역시 순탄한 흐름을 이어갔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 고령화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장세가 임금 상승과 일자리 확대를 불러 여성들의 노동참여와 나이 많은 노동자들의 은퇴시기 연장을 부르고 있다.

■트럼프 자신감에도 비관론 여전

WSJ은 2% 안팎의 노동생산성 증가와 1% 수준의 노동력 확대는 인플레이션 없는, 따라서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인상 없는 3% 경제성장을 가능케 한다고 전했다. 경제성장이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아 금리인상이 필요없는 적절한 수준의 성장이 지속가능한 발판이 마련되는 셈이다. 공급 측면 강화로 성장세에 탄력이 받는다면 이는 1990년대 후반 이후 처음이 된다.

당시 연준은 예상보다 훨씬 오랫동안 금리를 올리지 않아도 됐고, 1998년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에는 금리를 낮출 수 있는 여력도 확보한 바 있다. 트럼프의 감세와 재정지출 확대, 규제완화, 연준의 금리인상 중단과 통화완화 정책 지속 다짐 등 재정·통화정책 병행이 미국 성장의 배경으로 지목된다.

백악관은 이 같은 성장세가 적어도 3년은 갈 것이라고 호언장담한다.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인 케빈 해셋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공급 측면을 활성화했다면서 3%대 성장세가 3~5년 더 이어질 것이라고 낙관했다.

반면 몇 개 월 뒤면 이 같은 이상 성장세도 끝날 것이라는 비관들도 있다.
JP모간 수석이코노미스트인 마이클 페롤리는 노동공급 증가, 생산성 향상이 지속될 수는 없다고 비관했다. 페롤리는 이미 기업 투자가 지난해 확장세에서 둔화조짐으로 돌아섰고, 이는 수개월 안에 생산성 증가 발목을 잡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페롤리는 또 미국의 노동 적령기 인구 증가율이 앞으로 2년 안에 지금의 0.36%에서 0.18%로 반토막날 것이라면서 이는 노동참가율 성장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