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우체국 택배 '출혈 경쟁' 논란…"운임 정상화 방해" vs "정상 영업"

이진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5.06 17:26

수정 2019.05.07 07:56

사옥 공간 일부 창고 활용 전제.. 발송량 많은 회사에 갈아타기 제안
업계 "출혈경쟁에 운임인상 좌절.. 덤핑으로 공공기관 책무 저버려"
우체국 "자투리 공간 제공 일뿐"
우체국이 택배시장에서 제휴업체에 무상으로 창고를 빌려주고 아르바이트 인력도 제공하자 민간 택배업체들이 경쟁력에서 뒤쳐질까 전전긍긍이다.

택배업계는 특히 운임료가 정상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공공기관인 우정사업본부가 '제살 깎아먹기' 경쟁을 부추겨 시장 질서를 혼탁하게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우정사업본부는 업체에 자투리 공간을 임시로 대여해주는 것일 뿐 과도한 영업전략을 세운 사실이 없다는 입장이다.

■"운임 정상화 시점에 과도한 영업"

6일 업계에 따르면 우체국 택배는 최근 한달에 2만5000박스 가량을 배송하는 화장품 업체에게 택배업체 이동을 전제로 창고 무상 제공을 제안했다. 기존 계약을 해지하고 우체국 창고를 이용하라는 것이다. 경남 김해의 한 무역회사는 우체국택배 측으로부터 창고의 무상제공과 함께 아르바이트의 급여까지 챙기는 조건으로 택배업체 이동을 제안받았다.
경남 창원, 대구 등 여러 지역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이어졌다고 한 업계 관계자는 전했다.

한 택배 대리점주는 "우체국 택배가 무상 창고 제공 등을 미끼삼아 거래처를 점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출혈경쟁으로 '정상화' 바람이 불고 있는 택배업계 생태계가 무너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 지난 3월 업계 1위 업체인 CJ대한통운은 택배기사들의 처우 개선과 수익 증대를 위해 27년만에 택배운임 증대를 추진했다. 전국택배연대노조도 운임 인상에 환영의 뜻을 밝힌 상태다.

홍우희 전국집배점연합회 부회장은 "우체국택배의 저단가 덤핑영업으로 거래처를 뺏기지 않기 위해 운임인상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고 했다. 택배노조도 최근 우정사업본부가 초소형택배(2kg, 40cm 이하) 요금을 인하한 것을 두고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는 처사"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공격 영업, 사실 무근"

상황이 이렇자 우정사업본부가 공공기관으로서 본연의 '책무'를 저버렸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속해있다. 공적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 경쟁시장에 참여해 출혈경쟁을 유도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 기관의 특성에 맞게 택배기사들이 가기 어려운 배송 난지역 등을 배송하는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해야지 출혈경쟁에 앞장서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우정사업본부 측은 영업 정책은 기존과 다름없다는 입장이다.
점유율 확대를 위해 단가를 낮추는 등 공격적인 영업을 한 것은 아니라고 반박했다.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특별히 단가를 낮춰서 공격적인 영업을 한 사실도 없고 기존 단가가 다른 업체에 비해 300원 정도 높아 가격 인상에 따른 메리트도 없었다"면서 "사기업 택배가 '반품'에 취약해 서비스 측면에서 우체국 택배를 찾는 업종이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체국 사옥에서 나오는 50~100평 규모의 자투리 공간에 대해 무상으로 발송 대기장소를 마련한 정도"라며 "정식 사무공간에 대해서는 시세에 따라 정상 요금을 받았다"고 해명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