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자동차-업계·정책

르노삼성 원점, 현대차 단협은 시작도 못해… 車산업 勞리스크 [내우외환에 흔들리는 재계]

성초롱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5.22 17:49

수정 2019.05.22 21:33

르노삼성 원점회귀 장기화 국면..현대차 노사 임금인상 괴리 커
한국GM 민감한 노조안에 긴장
르노삼성 원점, 현대차 단협은 시작도 못해… 車산업 勞리스크 [내우외환에 흔들리는 재계]

한국 자동차산업이 또다시 '노조 리스크'에 몸살을 앓고 있다. 르노삼성자동차는 노사가 11개월 만에 마련한 임금 및 단체협약 잠정합의안이 노조 투표에서 부결되면서 협상이 원점으로 돌아갔다. 현대자동차와 한국GM도 노조가 최근 확정한 올해 임단협 요구안에 통상임금, 경영계획 등 민감한 이슈가 포함돼 협상까지 난항이 예상된다.

22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르노삼성의 2018년 임단협 잠정합의안이 전날 진행한 노조 찬반투표에서 51.8%의 반대로 부결되면서 지난해 6월부터 이어져온 노사협상이 또다시 장기화 국면에 빠져들 가능성이 커졌다. 노조 집행부는 이날 대의원회를 열고 새 협상안 마련을 위한 내부 절차 수렴과 함께 회사 측을 상대로 성실 교섭을 촉구하기 위해 27일부터 천막농성에 돌입하기로 했다.

문제는 내년 르노삼성의 생산물량이 임단협 타결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앞서 르노의 유럽 수출용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M3' 생산공장으로 부산공장이 유력시됐다. 하지만 최근 르노 본사는 노사갈등이 진행 중인 부산공장 대신 스페인 바야돌리드 공장을 유력 후보군으로 검토하고 나섰다.

올해 부산공장 생산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닛산 로그 위탁생산이 종료되는 르노삼성은 신규 물량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XM3를 위탁생산하지 못할 경우 르노삼성은 '생산절벽'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르노삼성은 신규 물량 배정과 관련, 임단협 타결 시한을 다음달로 보고 있다.

르노삼성 관계자는 "임단협 타결 실패로 본사의 물량배정 결정이 미뤄진 만큼 늦어도 다음달까지는 임단협 문제를 마무리지어야 생산물량 배정을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르노삼성 노사갈등이 장기화되면서 존폐 위기에 내몰리는 협력업체도 늘고 있다. 실제 르노삼성 노조가 부분파업을 본격화하기 시작한 지난해 10월 이후 다수의 협력업체 매출이 30% 이상 급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허용도 부산상의 회장은 "르노삼성이 조속히 경영정상화에 나서지 못하고 늦어질수록 협력업체를 포함한 지역경제 전반에 되돌릴 수 없는 피해를 유발하게 된다"고 우려했다. 올해 임단협 시작점에 선 현대차와 한국GM도 노조와의 협상까지 어려움이 예고된다.

우선 현대차 노조는 지난 13일 회사 측에 임단협 요구안을 제출했지만 회사 방침과 괴리가 커 상견례 날짜도 잡지 못하고 있다. 노조는 기본급 12만3526원 인상과 성과급 2018년 순이익 30%(1인당 약 900만원), 상여금의 통상임금 적용, 최대 만 64세까지 정년연장 등을 요구안에 포함시켰다. 또 '차세대 차종 개발 후 생산공장 배치는 시장환경·수익성·생산성 등을 고려해 결정하되 국내 공장에 최대한 우선 배치한다'는 기존 단협 조항에서 '최대한'이란 문구를 삭제하라고 요구했다. 최근 생산 효율성을 위해 글로벌 생산공장 구조조정 작업을 진행 중인 현대차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요구안이다.

한국GM도 최근 기본급 12만3526원 인상, 통상임금(409만4000원)의 250% 성과급 지급, 사기진작 격려금 650만원 지급 등을 포함한 올해 임단협 요구안을 확정했다.

이번 임단협의 핵심사안은 장기 발전전망 특별요구다. 노조는 오는 2022년 이후 부평2공장에 대한 신차투입 계획 확정을 요구하고 있다.
부평 엔진공장과 창원 엔진공장의 생산 확약도 요구했다. 특히 단체교섭 요구안에 노사 간 내수시장 확대방안을 논의하는 가칭 '노사내수판매발전위원회'를 구성하는 안도 담겨있다.


지난해 노사갈등으로 경영위기 직전까지 갔던 한국GM은 올해도 민감한 요구안이 다수 포함돼 순조롭게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longss@fnnews.com 성초롱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