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기자수첩

[기자수첩] 6돌 맞은 코넥스, 안전장치 필요하다

이정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7.08 17:12

수정 2019.07.08 19:13

[기자수첩] 6돌 맞은 코넥스, 안전장치 필요하다
"코넥스 투자하려고 자료를 찾아봤다. 그런데 일단 자료 찾기가 너무 어렵고, 그나마 건진 몇몇의 재무제표를 보는 순간 눈을 의심케 한다. 동네 구멍가게보다 더 위태한 기업이 대부분이더라."

최근 코넥스시장에 대해 쓴 기사에 달린 댓글의 일부다. 출범 6년을 맞은 코넥스시장이 여전히 외면받고 있는 이유를 보여준다.

올해는 상황이 더 안 좋다. 지난달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26억원으로, 지난해(48억원)에 비해 반토막 수준으로 줄어든 데다 상반기 상장기업도 4개에 그쳤다.
전체 상장기업 수는 150개사(5월 말 기준)에 불과하다. 원대했던 목표치에는 턱없이 모자란다. 지난 2013년 21개 종목을 상장시키며 출범한 코넥스시장은 2016년까지 300개, 2020년까지 700개 이상 상장시킨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초기 벤처기업들의 자금조달을 돕기 위해 만들었지만 올해는 자금조달도 신통치 않다. 지난해(3378억원)와 달리 올해 코넥스 상장기업들의 자금조달 규모는 774억원에 불과하다.

정부는 규제를 풀어주는 데만 급급하다. 애초 코넥스시장은 외국인, 기관투자자, 3억원 이상의 장기 개인투자자만 투자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다 개인투자자의 기본예탁금을 2015년 1억원으로 낮췄고, 올해 4월 다시 3000만원으로 내렸다. 코넥스시장의 매매비중에서 개인이 82.9%로 가장 높고 외국인(2.4%), 기관(10.8%) 기타법인(3.9%)인 것을 감안할 때 개인투자자의 문턱을 낮추는 것이 시장 활성화의 지름길이라고 생각했을 법하다. 하지만 지난 5월 개인의 코넥스 매수·매도금액은 전월보다 더 줄었다.

문턱을 낮췄지만 초기벤처기업 특화시장이어서 투자자들은 리스크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 무엇보다 상장을 위한 외형요건에 매출액·순이익 등의 재무요건이 필요치 않다. 또 거래소가 아닌, 지정자문인(증권사)이 신규상장 신청기업의 상장적격성을 심사한다. 분기 혹은 반기 보고서도 면제되고, 사외이사와 상근감사 설치의무도 면제된다.


사람 사이 관계에도 '밀당(밀고당기기)'이나 '당근과 채찍'이 필요하듯 정부정책에도 이 같은 법칙은 적용되는 것 같다. 초기벤처기업 전용시장이라 해도 최소한의 안전장치는 필요하다.
너무 혼탁한 물에는 고기도, 낚시꾼도 들어오지 않는다.

nvcess@fnnews.com 이정은 증권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