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피플일반

[fn 이사람] 김관창 이대서울병원 흉부외과 교수 "폐암, 수술 중요하지만 ‘재활’ 제대로 해야죠"

정명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1.06 17:55

수정 2019.11.08 08:47

싱글포트 흉강경 이용해 수술, 한곳만 절개 … 부작용·통증 완화
"통증없는 수술이 재활에도 영향"
[fn 이사람] 김관창 이대서울병원 흉부외과 교수
"폐암 수술은 환자의 통증을 최소한으로 줄여주고 수술 후에는 회복이 빠르도록 재활치료를 돕는 것이 중요하다."

김관창 이대서울병원 흉부외과 교수(사진)는 최근 건강검진으로 인해 조기 폐암 환자가 늘어나면서 환자의 수술 후 환자의 통증관리도 중요해졌다고 6일 설명했다.

폐에 악성종양이 생기는 폐암은 국내 암 사망률 1위다. 이처럼 폐암 사망률이 높은 이유는 수술이 가능한 1~2기가 전체 환자의 20%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폐암 증상이 감기, 기침 등이므로 폐암을 의심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최근에는 건강검진으로 조기 폐암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또 비흡연자에게 발생하는 선암도 증가하는 추세다.

최근에는 최소침습 수술로 환자의 부담을 줄여주는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예전에는 폐암 수술을 할 때 가슴을 크게 절개해 수술을 진행했다. 이후 3개의 구멍을 뚫어 복강경 수술을 했지만 최근에는 단 한 곳만을 절개해 수술하는 싱글포트(단일공) 흉강경을 이용해 폐암 수술을 한다.

또 전신마취가 아닌 수면마취로 수술이 진행된다. 전신마취를 시행하는 대부분의 수술은 삽관 관련 기도 외상, 잔류 신경근 차단, 환기 유발 폐손상, 심장기능 장애, 수술 후 구역 및 구토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수면마취를 해 이를 전면 차단하는 것이다. 특히 환자의 통증을 줄여주기 위해 늑간신경차단술을 시행한다.

김 교수는 "싱글포트로 수술을 하게 되면 절개 부위가 작아 회복이 빠르고, 수면 마취를 하면 전신마취 시 기도삽관을 했을 때보다 부작용이 적다"며 "이는 수술 후 환자의 재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설명했다.

수술 시 회복이 빠른 수술 방법과 환자의 통증을 줄여주는 시술을 사용하므로 환자의 입원일수도 7~10일에서 4~7일로 줄어들었다.

또 김 교수는 수술 후 폐 재활운동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수술 후 늑간신경차단술로 통증이 없기 때문에 폐 수술 후 다음 날부터 공흡입기(인스피로미터)를 이용해 폐 재활운동을 시작한다.

호흡으로 공을 띄우는 기구인데 폐가 회복됨에 따라 더 많은 호흡으로 공을 움직일 수 있다.

또 폐 재활을 위해 기침운동, 횡격막호흡, 자세교정운동, 흉곽운동, 어깨 회전운동도 병행한다.

김 교수는 "폐는 호흡 재활운동으로 늘어날 수 있는 조직"이라며 "폐암 수술 후 폐를 절제해 크기가 줄어들었는데 운동으로 폐를 늘려놓지 않으면 줄어든 빈 공간에 물이 차고 나중에는 굳어지게 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가 재활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다른 이유는 폐암은 재발이 많기 때문이다. 1기에서도 30%가량이 재발한다. 이 때문에 폐의 크기를 늘려놓으면 재발 시 수술하기도 수월해진다.

이에 김 교수는 외래 경과 관찰 시 흉부 X레이로 폐가 얼마나 늘어났는지 확인시켜주며 호흡기 재활에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폐 재활에 좋은 운동으로는 걷기, 계단 오르기, 등산 등이 추천된다. 또 폐암 재발을 조기 발견하기 위해서 수술 후 3년간 3개월마다 저선량 컴퓨터단층촬영(CT)을 찍고, 이후 2년간 6개월마다, 5년이 지난 후에는 1년에 한 번씩 검진을 하는 것을 권장한다.


김 교수는 "폐암 1기 5년 생존율은 80% 달할 정도로 높지만 조기발견이 쉽지 않다는 게 문제"라며 "50대 이상이면서 가족력이 있거나 흡연을 오래 했거나 폐 결절이 많은 사람의 경우에는 저선량 CT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전민경 인턴기자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