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기저효과 사라지면 고용시장 ‘바닥’ 드러날듯[내년 한국경제도 먹구름]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2.11 17:27

수정 2019.12.11 18:28

서비스업 제외하면 전반적 ‘위축’
내년 취업자 올보다 4만명 줄 듯
기저효과 사라지면 고용시장 ‘바닥’ 드러날듯[내년 한국경제도 먹구름]
올 들어 각종 경제 지표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고용 상황만은 활기를 띠는 모양새다. 고용률도 23년 만에 최고치를, 실업률은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지표상 호조를 보이고 있는 올 고용시장은 지난해 극심한 부진의 기저효과로 지적된다. 내년 기저효과가 사라지게 되면 고용시장의 현실이 고스란히 드러날 전망이다. 정부재정이 대거 투입되는 서비스업 정도를 제외하면 내년 전반적인 고용 사정이 좋지 않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내년 취업자수 전망치는 24만명이다.
올해 전망치인 28만명과 비교하면 4만명(-14.3%%) 감소한 것이다.

고용시장은 지난 2018년 신규취업자수가 10만명에 그치는 등 금융위기 여파가 있었던 지난 2009년 이후 가장 큰 부진을 보였다. 이에 따른 기저효과로 올해의 경우 취업자가 28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내년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고용시장 위축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업종별로 내년 고용 회복세를 지지할 수 있는 분야가 많지 않다. 따라서 이른바 '질 좋은 일자리'로 불리는 제조업의 경우, 올해 부진이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개선이 예상되는 업종도 고용유발효과가 낮은 반도체 업종에 집중돼 있다. 제조업 회복세가 현실화된다고 해도 고용개선은 소폭에 그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건설업도 부진 장기화가 예상됨에 따라 고용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한은의 건설투자 전망을 보면 올해 마이너스(-)4.3%에 어어 내년에도 -2.3% 역성장이 예상된다. 건설 부문 투자가 부진하면 일자리 확대도 어렵다.

이 같은 전망을 고려하면 내년 고용은 양적 하락은 물론이고 질적 개선도 어려워 보인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내년에는 고용 증가세가 꺾일 것으로 본다. 올해 정부 재정투입이나 기저효과로 고용이 많이 늘었지만 실물경기 회복 뒷받침되지 않았다"며 "내년 성장도 올해보다 낮을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고용증가세가 내년까지 지속되기는 어렵다. 반도체 경기가 회복이 된다고 해도 설비투자 확대로 연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고용시장을 떠받치는 역할은 정부 재정이 투입되고 상대적으로 고용유발효과가 큰 서비스업이 맡을 가능성이 높다. 국회예산정책처 예산안분석에 따르면 내년도 예산안에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예산은 올해 대비 20% 이상 늘어났다.

또 외국인 관광객 확대가 이어질 경우 고용에 긍정적인 신호가 갈 수도 있다. 올 들어 중국인과 동남아시아인 중심으로 외국인 관광객 확대를 보이고 있다.
한·일 관계 개선이 내년도 이뤄진다면 일본 관광객도 다시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이 경우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일자리 확대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한은은 지난달 경제전망에서 "취업자수는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지속할 것"이라며 "서비스업 고용은 정부의 일자리·소득지원 정책 지속, 정부·기업의 연구개발투자 확대 등에 힘입어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