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세계최초 디지털 엑스레이 소스 상용화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1.15 09:17

수정 2020.01.15 09:17

방사선 노출 50%로 줄이고 1만배 빠른 초고속 촬영 가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진이 개발한 디지털 엑스선 튜브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된 제품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진이 개발한 디지털 엑스선 튜브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된 제품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국내 연구진이 120년간 사용해왔던 엑스선(X-ray) 소스(Source)의 작동 방식을 디지털방식으로 바꿨다. 이번 디지털로 개발, 방사선 노출을 줄이고 영상 화질도 높여 의료 영상장비 산업에 새로운 전기가 될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탄소나노튜브 기반 디지털 엑스선 소스를 개발해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기존 아날로그 방식보다 방사선 노출은 50%로 줄이고, 최대 1만배 이상 빠른 속도로 정밀한 촬영이 가능하다.

연구진의 기술은 가열이 불필요해 건전지(AA) 크기의 장비 경량화로 제품화가 가능하다. 휴대하기 쉽게 작게 만들고 엑스선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현재 중견기업 2곳을 포함, 7개 관련 업체에 기술이전됐다.


특히, 기술이전 받은 치과용 진단 장비업체는 그동안 일본 대기업으로부터 전량 수입하던 휴대 촬영용 엑스선 부품을 대체, 국산화에 성공했고 또 다른 업체는 산업용 생산 라인에서 정전기를 없애주는 장비인 이온나이저(ionizer)를 디지털 튜브로 대체, 디스플레이 업체로부터 호평받았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의료기기산업학과 김진성 교수도 "ETRI의 기술로 엑스선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해 방사선 노출 걱정을 줄이면서 영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ETRI가 개발해 상용화에 성공한 이 기술의 핵심은 탄소나노튜브 전계방출 전자원(源) 제작기술, 진공 밀봉 엑스선 튜브 설계 및 제작기술, 전계방출 디지털 엑스선 소스 구동을 위한 능동전류 제어 기술 등이다.

과제책임자인 ETRI 송윤호 소재부품원천연구본부장은 "오랜 기간 수입에 의존하던 핵심 부품을 혁신적 신기술로 대체해 단순 국산화를 넘어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확보하는 모범적인 사례가 됐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향후 본 기술을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CT)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출력을 높이고 관련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 기술은 미국 응용물리학회(APL), 나노 테크놀로지 등 저명 학술지에 게재됐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