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위조지폐 잡아내는 판독기술, 글자 사라진 기록물도 되살렸다

안태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1.20 12:00

수정 2020.01.20 17:18

국가기록물 528매 디지털복원
1944년 조선총독부 형사사건부 디지털 복원 전(왼쪽)·후 국가기록원 제공
1944년 조선총독부 형사사건부 디지털 복원 전(왼쪽)·후 국가기록원 제공
글자가 사라져 내용을 파악할 길이 없던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기록과 60년대 감사원 기록물 528매가 위조지폐 판별기술을 통해 되살아났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휘발·탈색돼 내용을 판별하기 어려웠던 국가기록물 528매를 특수 전문장비와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로 복원했다고 20일 밝혔다.

기록원은 2018년부터 일부 내용이 사라진 근현대기록물 복원을 위해 연구를 거듭한 끝에 청사진이나 팩시밀리용지 같은 감광지, 감열지 재질에서 휘발·탈색이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문서 감정, 위조지폐 판별 전문장비인 이미지 비교감식기(VSC)를 도입해 기록물 복원 첫 성과를 얻었다. 조선총독부 형사사건부 153매와 60년대 감사원 문서 375매 등이다. 총독부 형사사건부 기록물은 1944년에 만들어진 문서다.
침수로 인해 탈색된 탓에 글씨가 보이지 않았다. 적외선과 자외선을 비추자 153매에 담긴 532건의 사건 제목과 연루된 피해자 성명 등 주요 내용이 드러났다.


감사원이 1965년부터 1969년까지 생산한 기록물 역시 특수 재질인 은염복사지로 작성돼 휘발이 심각하게 진행됐지만 자외선으로 내용을 복원했다.

기록원은 이번 결과를 토대로 총독부기록물과 60~70년대 법무부 수용자신분증 등 휘발·탈색된 기록물을 추가 복원할 계획이다.
복원 가이드라인도 마련해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공공기관과 민간에도 공개할 계획이다.

eco@fnnews.com 안태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