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일반

[블록人터뷰] "中블록체인 굴기 쉽게 볼 일 아냐"

김소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2.03 16:03

수정 2020.02.03 16:12

김서준 해시드 대표 "금융규제 풀어 신산업 기회 잡아야"
"중국 정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경제 전환 박차"
"한국도 신산업 기회 잡아야...민간-정부 소통 필수"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블록체인 기술을 육성하겠다"는 한마디에 비트코인 가격이 폭등했었다. 그만큼 블록체인·암호화폐 시장은 중국의 움직임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중국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경제 전환을 위한 전방위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글로벌 블록체인 전문 투자회사 김서준 대표는 "중국 인민은행이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발행을 공식화하고, CBDC 유통 주체가 될 결제 플랫폼과 협력해 새로운 디지털 결제 인프라를 빠르게 구축하고 있다"며 중국이 암호화폐 산업에 대해 강력히 제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겉모습만 봐서는 안된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블록人터뷰] "中블록체인 굴기 쉽게 볼 일 아냐"
김서준 해시드 대표는 3일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해시드 본사에서 파이낸셜뉴스와 만나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중국 입장에서 디지털 경제 인프라 선점과 이를 통한 위안화 유동성 공급은 필연적인 선택"이라고 분석을 내놨다. 블록체인·암호화폐를 기반으로 디지털 경제전환을 시도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는 "암호화폐와 관련해 무규제 상태에 가까운 한국 역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금융 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응해 국가 영향력을 키우기 위한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대표는 "지난 몇십년간 금융은 정부 허가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유일한 산업이었지만 블록체인의 등장은 게임의 법칙을 완전히 바꿨다"며 "블록체인으로 디지털 자산을 전송하거나, 기존 금융 시스템과 디지털화된 결합이 이뤄지고 있다"며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십분활용해 디지털 금융에 대한 선점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중국,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경제 가속"
김 대표는 중국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경제 생태계에 대해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국가로 꼽았다. 그는 "중국의 복심은 위안화와 일대일로 연동되는 인민은행 발행 CBDC를 통해 위안화 사용처를 늘리겠다는 것"이라며 "오는 4월 가동 예정인 BSN(Blockchain based Service Network) 위에서 디지털 위안화가 발행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김 대표는 "중국 지방은행은 사실상 껍데기만 남은 도산상태이며, 공적자본을 통한 국영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며 "거기에 부동산 거품과 증시 약화에 따른 장기화된 경기 침체 국면은 중국 정부가 어떻게든 위안화 유동성을 늘려 경제 인프라를 팽창시켜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12월 중국 하이난성 하이커우시에선 중국 중앙정부가 최초로 승인한 국제 블록체인 행사 '하이난 자유무역항 디지털 경제 및 블록체인 국제협력 포럼'이 열렸다. 당시 행사에 참석한 김 대표는 "중국 전 과학기술부 차관이 비트코인이 전자화폐로서의 가치를 증명했다고 인정할만큼 중국 내에서 암호화폐를 포함한 디지털 자산이 큰 틀에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느꼈다"며 "실제로 중국은 현재 국가가 통제할 수 있는 몇몇 암호화폐 거래소만 제외하고 정리하는 방향으로 자체 암호화폐 규제를 정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 민간과 소통해야 신산업 선점"
김 대표는 "중국은 겉으로 보기에 암호화폐 산업에 대해 강력히 제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내부적으론 매우 치밀하게 준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반대로 한국은 아직 특금법 등 관련 법조항도 마련하지 못하고, 금융 당국 역시 암호화폐 기업과 만나는 것 자체를 꺼리는 등 산업 기반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향후 중국 정부가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 기준에 대한 자체 가이드라인도 내놓을 것이라 분석했다. 이미 암호화폐 상장과 거래소 승인에 대해 철저한 관리감독을 하고 있는 일본처럼 중국 역시 암호화폐 상장 기준을 민간에 모두 맡기지 않고 제도권에 편입시킬 것이란 관측이다.


그러면서 "한국 기업이 디지털 경제 인프라에 있어 글로벌 시장으로 나갈 수 있게 정부는 금융 영역에 대한 규제를 풀어주고, 관련 제도를 만들어줘야 한다"며 "이미 국내에선 알리페이나 위챗페이를 통해 결제할 수 있는 곳이 점점 더 늘어나는 등 중국으로부터 결제 인프라를 뺏기고 있다는 것을 직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srk@fnnews.com 김소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