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코로나19 극복 정부·ICT업계 머리 맞댔다

서영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3.03 14:36

수정 2020.03.03 14:36

[파이낸셜뉴스]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물론 정보통신기술(ICT)업계가 머리를 맞댔다. 정부는 코로나19 대비 비상 대응체계를 점검하는 한편, 통신사들은 유통망과의 상생안을 내놓으며 코로나19 피해 극복에 동참하고 있다.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코로나19 사업자별 비상 대비 대응계획을 점검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코로나19 사업자별 비상 대비 대응계획을 점검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일 장석영 제2차관 주재로 주요 통신사업자, 유료방송사업자, 한국인터넷진흥원, 카카오와 함께 코로나19 대비 방송·통신·인터넷 서비스 비상 대응체계 점검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는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대면회의 대신 원격으로 영상회의시스템을 활용해 진행됐다.


점검회의에서는 필수인력 확보와 근무지 폐쇄시 망 관리·운용 등 위기단계별 대응방안, 사이버 침해 대응 등 연속성 확보방안, 영업점·설치 기사 등 대민접촉 부서의 예방·확산방지 대책, 경기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유통망에 대한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통신사업자들은 감염으로 인한 운용인력 부족에 대비해 망 관리·운용 경험이 있는 직원과 운용협력사 직원들로 전문 인력풀을 구성해 필수인력 감염으로 인한 인력부족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선 사업장의 근무자가 동시에 격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운용인력을 A조(운용조), B조(백업조)로 구분하고 예비로 C조(운용경험 인력)를 추가편성하거나 일부 인력 분산 배치와 재택근무 등을 시행하고 있다.

아울러 일부 통신국사가 폐쇄되더라도 다른 국사에서 원격으로 통신망을 운용할 수 있도록 원격 망 운용시스템이 구축돼 있고 지역별·중요통신시설별로 폐쇄시 대체 운용국사를 지정하고 있다. 통신망 장애, 트래픽 이상 유무 등을 관리하는 망 관제센터가 폐쇄될 경우에는 망 관제센터가 이원화돼 있는 KT(과천, 둔산), SK텔레콤(분당, 성수, 둔산)은 이원화 국사에서 망 관제를 수행하고 망 관제센터가 이원화돼 있지 않은 LG유플러스(마곡), SK브로드밴드(동작)는 임시로 전국 망 관제가 가능한 시설(LG유플러스 안양, SK브로드밴드 서초·성북)을 구축해 대비하고 있다.

통신사업자들은 경기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유통망 지원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KT와 LG유플러스는 코로나19로 타격을 받고 있는 중소 유통망에 대해 임대료 감면과 운영자금 지원 등 상생방안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전국 직영 유통망·네트워크 협력사를 대상으로 상생방안을 마련해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사이버침해대응 본부는 재택근무제와 서울-나주 간 침해대응 시스템 이중화를 통해 24시간 상황관제와 대국민 서비스 등 업무를 차질없이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카카오의 경우 재난시에도 메신저 서비스가 끊김없이 이용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장 차관은 "코로나19처럼 확산속도가 빠른 감염병의 경우 광범위한 근무자 감염으로 예기치 못한 비상상황도 발생할 수 있어 비상대책을 차질없이 실행해 방송·통신·인터넷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며 "특히 카카오는 기간통신망을 보유하고 있는 사업자는 아니지만 대다수 국민들이 애용하고 있는 서비스로 자리잡은 만큼 장애방지에 더 각별히 노력해달라"고 강조했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