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줍줍족 몰리고 밀어내기 분양… 규제 앞두고 막바지 열풍

강현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6.01 18:31

수정 2020.06.01 18:31

8월 이후 공급 줄어들 가능성
청약대기 수도권·지방까지 몰려
무순위 경쟁률은 기본 1000대 1
이달 공급 전년보다 162% 증가
신축 가격 급등 우려 목소리도
줍줍족 몰리고 밀어내기 분양… 규제 앞두고 막바지 열풍
정부가 분양권 전매 단기 투자를 원천 차단하겠다며 부동산 규제를 추가로 내놓은 가운데 청약 대기자들이 '줍줍'으로 불리는 무순위 청약에 몰리거나 수도권·지방 분양권을 찾아 나서고 있다. 건설사도 전매제한이 강화되는 8월 이전에 물량을 대거 쏟아내고 있다. 다만 9월 이후부터는 지방 시장이 위축되면서 공급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전국 청약시장이 분양권 전매제한 규제를 앞두고 막바지 청약 열풍이 불고 있다. 추가 부동산 규제로 신규 공급물량이 줄어들 것이라는 불안감이 청약대기자 사이에서 맴돌고 있어서다. 게다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될 경우 최대 10년간 매물을 팔지 못하거나 실거주 의무가 생길 수 있다.
이에 수요자 입장에서는 이 기간 동안 부동산에 투입된 자금이 묶이지 않기 위해 8월 이전에 분양을 받겠다는 생각이다.

■8월 이후 공급 안갯속…청약 '혈안'

청약대기자들의 이러한 불안 심리는 청약 경쟁률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 5월 청약을 마친 동작구 '흑석리버파크자이'는 일반분양 326가구 모집에서 평균 95.9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단지 당첨자 중에서는 청약 가점 만점자(84점)가 나오기도 했다. 강서구 '우장산숲아이파크'도 일반분양 150가구 모집에 9922개 청약통장이 접수돼 청약 경쟁률이 평균 66.15대 1까지 뛰었다.

수도권과 지방에까지 청약대기자들의 수요가 몰리고 있다. 화성시에 들어서는 '신동탄포레자이'는 일반분양 739가구 모집에 5만1878명이 몰렸다. 1순위 청약 경쟁률은 평균 70.2대 1로 나타났다. '울산 지웰시티 자이' 1단지는 1164가구 모집에 7933개 청약통장이 접수돼 평균 6.9대 1, 2단지는 1122가구 모집에 7748개 통장이 몰려 평균 6.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청약통장이 필요 없는 무순위 청약의 경쟁은 훨씬 치열하다. 경쟁률은 기본 1000대 1에서 몇십만대 1까지 뛰고 있다.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수원' 무순위 청약의 경우 42가구 모집에 6만7965명이 접수해 평균 경쟁률이 1618대 1에 달했다.

지난달 20일 서울 성수동 '아크로 서울 포레스트' 추가 3가구 무추첨 청약에서는 무려 26만4625명이 몰려 화제가 됐다. 전용면적 97㎡ 한 가구만 봤을 때 경쟁률은 21만5085대 1까지 치솟았다.

이날 GS건설도 지난 4월 분양한 경기 수원시 영통구 망포5지구 '영통자이' 아파트의 부적격 당첨 물량 3가구를 무순위 청약 방식으로 공급할 방침이다. 이 곳 역시 경기 남부 수요자들이 몰릴 것으로 예상대 수십만 대 1의 경쟁률이 예상된다.

■'밀어내기'공급…신축 급등 우려도

이처럼 수요자들이 늘어나자 건설사들도 '밀어내기' 공급에 분주하다. 건설사 입장에서는 분양권 판매 옵션 여부에 따라 상품의 선호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분양권 전매가 가능한 8월 이전에 물량을 쏟아내는 중이다.

실제 이달 공급 가구 수는 총 6만6364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4만1076가구)과 비교했을 때 162% 증가했다. 특히 6월에는 서울 개포동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광진구 '롯데캐슬리버파크시그니처', 동대문구 '래미안엘리니티' 등 서울 주요 지역에서 분양이 이어질 예정이어서 청약 경쟁은 훨씬 치열해질 전망이다.

전문가는 전매제한 강화의 순기능도 있지만 역기능 탓에 신축 아파트값이 급등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지방광역시의 경우 그나마 투자자들의 유입으로 돌아가던 분양시장이 규제 이후 급속하게 얼어버리게 될 가능성이 높다.

지방의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전매를 통한 단기 수익을 노리는 투자수요의 시장진입이 막히면서 그마나 지역에서 활기를 띠던 아파트 신축 시장이 조정국면으로 들어설 것"이라며 "사업지 선택 범위가 축소되고 선호 지역과 비선호 지역간 양극화가 심화 돼 지방 미분양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도 "신축 아파트가 시장에서 유통되지 못하게 인위적으로 막는 셈이라 신축 선호가 높은 지역에서는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고 말했다.

niki@fnnews.com 강현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