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일반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공무원증, 사업자 윤곽 D-1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6.04 16:05

수정 2020.06.04 17:38

정부, 5일 기술평가 후 우선협상대상자 발표예정 “12월까지 구축”

'21년~'22년 장애인등록증과 운전면허증에도 블록체인 DID 접목
[파이낸셜뉴스] 오는 12월 도입될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공무원증 구축을 담당할 사업자가 내일(5일) 결정된다. 나랏돈 22억 원이 투입되는 모바일 공무원증 사업은 2021년과 2022년에 단계별로 추진될 장애인등록증 등 복지카드와 운전면허증의 기반 사업이 될 것이라는게 업계의 관측이다. 모바일 공무원증 구축사업이 안착되면 복지카드와 운전면허증을 넘어 ‘전 국민 모바일 신분증’ 도입 등으로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모바일 전자증명(DID, 블록체인 기반 신원식별)으로 신뢰를 갖춘 비대면 거래 필요성이 확산되면서, 정부 역시 모바일 신분증 등 DID 국제표준을 선도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모바일 공무원증 활용 서비스 / 사진=행정안전부
모바일 공무원증 활용 서비스 / 사진=행정안전부


■5일 우선협상대상자 선정-12일 사업 착수 예정

4일 정부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오는 12일부터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구축 사업이 본격화된다. 총 사업비 22억 원 중 위임 발주 등 일부 비용을 제외한 17억6300만원의 예산이 쓰이는 이번 사업에는 삼성SDS와 LG CNS가 공개경쟁입찰을 진행 중이다.


삼성SDS는 시스템통합(SI) 업체 아이티센이 주 사업자인 컨소시엄에 참여했다. 자체 개발한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넥스레저 유니버설(넥스레저)’로 기술 지원하는 형태다. LG CNS는 통합인증·보안업체 라온시큐어와 컨소시엄을 형성했다. 삼성SDS 측과 LG CNS 컨소시엄은 오는 5일 온라인으로 기술 발표한 뒤, 당일 혹은 그 다음날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여부를 통보받을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사회기획과 관계자는 “5일 기술평가 후 곧바로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해 발표할 계획”이라며 “약 1주일가량 추가 기술협상을 진행한 후 이르면 오는 12일에 사업에 착수할 것”이라고 전했다.

모바일 신분증 단계적 도입 계획 / 사진=행정안전부
모바일 신분증 단계적 도입 계획 / 사진=행정안전부


■모바일 공무원증으로 안전성 검증 후 사업 확대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공무원증 사업이 오는 12월 완료되면 중앙부처 공무원들은 각자 스마트폰에 모바일 공무원증을 발급 받아 기존 공무원증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모바일 공무원증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통합형 신분증이기 때문에 정부청사 출입은 물론 업무시스템 접속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모바일 공무원증으로 모바일 신분증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검증한 뒤, 복지카드와 운전면허증으로 발급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공무원증 구축 사업자는 이후 모바일 복지카드 및 운전면허증을 비롯해 주민등록증을 대체하는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구축에도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국가 신분증 관리체계를 DID 등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환하는 사업을 주도하는 셈이다.

또 최근 비대면을 전제로 ‘언택트 이코노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모바일 신분증에 대한 수요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민간기업과 협력해 모바일 신분증 등 DID 관련 국제표준을 선점한다는 목표다.
현재 국제 웹 표준화 컨소시엄(W3C)은 DID 상위개념만 정의하고 있다. DID 응용표준은 아직 정립되지 않아 산업계에서 제각각 구현되는 DID 서비스는 상호연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
즉 ‘세계 최초 DID 기반 모바일 공무원증’을 시작으로 국제표준논의를 주도하겠다는 게 정책 목표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안태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