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中 양쪽서 얻어맞는 홍콩… ‘1조弗 금융허브’가 흔들린다

정지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6.30 18:07

수정 2020.06.30 18:08

홍콩, 보안법·특별지위 박탈 파장
美, 기술 수출금지 등 전방위 압박
홍콩 수출품에 최대 25% 관세도
中도 보복관세 등 맞대응 가능성
기업 30% "홍콩 엑소더스 고려"
홍콩 행정장관이 6월 30일 정부청사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홍콩 보안법' 통과를 이유로 미국이 홍콩의 특별지위를 박탈하자 람 장관은 이날 "미국의 어떠한 제재도 홍콩을 위협하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람 장관은 "미국이 홍콩에 제재를 가할 것이란 신호는 꽤 오래 전부터 감지됐기에 우린 이미 마음의 준비를 끝낸 상태"라고 밝혔다. AP뉴시스
홍콩 행정장관이 6월 30일 정부청사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홍콩 보안법' 통과를 이유로 미국이 홍콩의 특별지위를 박탈하자 람 장관은 이날 "미국의 어떠한 제재도 홍콩을 위협하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람 장관은 "미국이 홍콩에 제재를 가할 것이란 신호는 꽤 오래 전부터 감지됐기에 우린 이미 마음의 준비를 끝낸 상태"라고 밝혔다.
AP뉴시스
【 베이징=정지우 특파원】 중국이 홍콩 국가보안법을 강행하고 미국이 홍콩의 특별지위 박탈로 맞서면서 홍콩의 미래가 시계 제로의 국면으로 빠져들고 있다. 홍콩에 대한 양국의 팽팽한 대립은 기존의 무역, 정치 등 다양한 분야의 갈등을 증폭시키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여 세계에 미치는 파장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홍콩 엑소더스가 현실화되면 주변국의 수출·자본·투자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강대강 미·중 갈등 격화

홍콩 보안법 시행 이후 가장 우려되는 것은 미·중 갈등 격화다. 미국 상무부가 6월 29일(현지시간) 홍콩 특별대우 박탈을 선언하면서 홍콩에 대한 국방물자 수출 중단과 민·군 이중용도기술의 수출 금지, 첨단제품에 대한 홍콩의 접근 제한 등이 제재대상에 올랐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홍콩의 자유를 박탈하는 중국 공산당의 결정이 홍콩에 대한 정책을 재평가하게 했다"면서 추가 제재 가능성도 열어놨다. 월버 로스 미국 상무장관도 "추가 조치도 검토되고 있다"고 압박을 가했다.

미국의 제재가 확대되면 홍콩 수출품에 중국 본토와 같은 수준인 최대 25%의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 홍콩 수출품에 대한 미국의 특혜는 2018년 기준 4억3270만달러(약 5200억원) 규모다. 미국의 첨단기술이 홍콩으로 이전되는 무역이 규제되고, 비자는 중국인과 동일한 대우를 받을 수 있다.

미국은 1992년 제정한 홍콩정책법을 통해 관세, 투자, 무역, 비자발급 등 경제·통상 분야에서 홍콩에 특별지위를 보장하고 있다. 홍콩은 이를 동력으로 서방 자본의 유입 통로이자 아시아의 '금융 허브'로 성장했다. 따라서 특별지위 박탈은 홍콩 경제의 기반을 흔드는 대재앙이 될 수 있다. 다만 중국 대응에 따라 제재 수위가 조절될 여지는 남아 있다. 특별지위 박탈은 미국이 더 손해라는 분석도 있다.

중국이 홍콩 보안법을 강행한 것은 이 같은 미국의 제재를 이미 고려했고 대응책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만약 미국이 관세를 무기로 들고나올 경우 중국 역시 관세폭탄으로 맞대응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되면 홍콩이 수입하는 미국산 제품에 대한 무관세정책 철회로 이어질 수 있다. 비자 문제도 중국이 꺼낼 수 있는 카드다. 홍콩 문제로 미국이 중국 관리의 비자 제한을 밝히자 중국은 자오리젠 외교부 대변인 명의로 같은 조치로 반격하겠다고 공언했다.

흔들리는 금융 허브 위상

홍콩 보안법과 특별지위 박탈이 현실화되면서 홍콩 내의 기업과 시민들의 대규모 이탈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홍콩 보안법은 중국의 통제가 강화되는 만큼 그동안 누려온 고도의 자치권이 사라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홍콩 내에선 홍콩 보안법을 피해 대만, 싱가포르 등으로 기업 이전이나 이민을 추진하는 이들이 상당수라는 외신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가정이긴 해도 미국이 홍콩의 특정은행과 개인을 겨냥한 세컨더리 보이콧(제3자 제재)을 발동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홍콩 보안법 관련 중국 관리 등과 거래하는 제3국 정부나 기업·은행·개인 등에 대해서도 같이 제재하는 초강력 압박이다. 이처럼 특별지위 박탈로 홍콩 자본시장의 안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비자 특혜까지 막히면 홍콩의 금융경쟁력, 즉 금융 허브 위상은 급격히 위축될 것으로 평가된다. 이는 홍콩에 아시아지역 거점을 둔 글로벌 기업엔 가장 큰 장점이 사라지는 것이다.

홍콩은 1조달러(약 1200조원) 규모의 세계 투자자금이 모여 있다.
홍콩증시는 기업공개(IPO) 자금 조달액에서 뉴욕증시와 선두다툼을 벌이는 요충지다. 뉴욕타임스는 "중국 진출의 거점으로 홍콩을 택했던 다국적기업들은 싱가포르를 비롯해 후보 지역을 검토하기 시작했다"며 "홍콩 엑소더스 현상이 잇따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홍콩 주재 미국상공회의소는 최근 홍콩 내 미국 기업 등 18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0%가 홍콩 이외 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