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외교/통일

美 비건 '남북협력'은 지지.."北에 만남 요청한 적 없다" 강경

강중모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7.08 14:16

수정 2020.07.08 14:45

비건 "남북협력, 한반도 안정적 환경 조성에 중요한 요소"
北 대화거절 반응에 "만남 요청한 적도 없다" 다소 강경해
최근 '뜨거운 감자'였던 워킹그룹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아
사진공동취재단 =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8일 오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정책특별대표(오른쪽)와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에 앞서 인사를 나눈 후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스1화상
사진공동취재단 =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8일 오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정책특별대표(오른쪽)와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에 앞서 인사를 나눈 후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스1화상
[파이낸셜뉴스]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정책특별대표는 8일 오전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를 갖고 "남북협력을 지지하고 이는 한반도를 안정적 환경으로 만드는 중요한 요소"라고 밝혔다. 또 북·미 대화에 대해서는 열린 자세를 보였지만 대화에 급급한 모습보다는 단호한 모습을 보였다.

비건 부장관은 남북협력에 대해 지지하면서도 그의 방한 계기 북·미 간 접촉이 있을 수 있다는 일부의 관측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번 방문은 친구와 동맹을 만나기 위한 것이고 우리는 북한에 만남을 요청하지 않았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싶다"고 밝혔다.


최근 북한은 문재인 대통령과 정부가 북·미 정상회담과 북·미대화 추진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에 대해, 또 "대화의 문이 열려 있다"는 미국에 대해 맹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미국과 더는 섣불리 만나지 않을 것이고, 한국의 중재자 역할도 용납할 수 없다는 것이다.

비건 부장관은 "나는 최선희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이나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지시를 받지 않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년 동안 협의한 것들을 (정책 추진의) 지침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반도 평화'를 목적으로 하는 정부의 남북협력은 도울 수 있지만 북한에 대화를 구걸한다거나 11월 미 대선을 앞둔 10월에 북·미 정상회담 급조해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을 높이는 '쇼'를 벌일 일은 절대 없다는 것을 강조한 셈이다.

실제로 이날 비건 부장관은 브리핑에서 "한반도에서의 지속적인 평화와 관계 변화, 핵무기 제거, 한반도 내 사람들의 더 밝은 미래에 방한의 초점을 맞춘다"고 덧붙였다.

다만 비건 부장관은 "김 위원장이 이 문제들에 대해 협상할 나의 카운터파트를 임명할 때, 우리가 준비됐음을 알게 될 것"이라면서 북한이 대화에 나서고자 한다면 미국도 거기에 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어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우리의 노력이 계속되기를 기대하고, 이것이 가능하다고 믿는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노력을 지속하기 위해 전폭적 지지를 보내왔다"라고 덧붙였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정확하게 어떤 말을 전했는지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우리측 북핵수석대표인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조속한 시일 내 대화의 물꼬를 틀 수 있는 방도에 대해 심도 있게 협의했다"면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대화와 협상만이 유일한 방법이고, 한·미는 조속한 재개를 위해 전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본부장은 "한·미는 북한과 대화가 재개되면 균형 잡힌 합의를 이루기 위해 유연한 입장을 갖고 있다는 점을 재확인했다"면서 "관련 노력을 지속해 나가고, 한·미 간 빈틈없는 공조체제를 기반으로 중국·일본·러시아 등 주변국, 국제사회와 긴밀히 소통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비건 부장관과 이 본부장은 최근 기능상 문제가 제기된 한·미 워킹그룹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최근 북한은 워킹그룹이 남북관계 발전에 '족쇄'가 되고 있다고 비난했고 여권 일각에서도 워킹그룹이 대북제재 완화에 부정적 역할을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정부도 이번 비건 부장관의 방한 계기 워킹그룹의 기능 조정에 대한 운을 뗐지만 미측은 대북제재 유지 입장을 밝히며 대북제재 완화나 면제와 관련된 조정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