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낡은 교량 150년 더 쓴다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8.24 10:38

수정 2020.08.24 10:38

건설기술연구원, 하중 2배 더 버티고, 수명 3배로 늘려
기존 대비 시공비 45% 절감하고 불연소재로 화재에 강해
시멘트 혼합물 내구수명 평가. 건설기술연구원 제공
시멘트 혼합물 내구수명 평가. 건설기술연구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국내 연구진이 노후된 다리와 터널의 하중은 2배로 버티고 수명은 3배로 늘리는 보강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보강공법보다 시공비를 45%까지 절감해 1석3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김형열 박사 연구팀이 불연소재인 탄소섬유 보강재와 시멘트 혼합물을 활용해 노후시설물 보강공법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진은 시멘트 혼합물을 이용해 노후시설물의 내구수명을 평가한 결과 150년으로 측정됐다. 이는 국내 일반 시멘트로 시공한 경우 내구수명은 50년이며 세계 최고 기술은 100년이다.

이 보강 공법은 국내외 특허로 등록됐으며 올 하반기에 공용중인 시설물을 대상으로 테스트베드를 구축할 예정이다.


연구진은 기존 탄소섬유 접착공법의 문제점을 개선, 유기계 접착제 대신 시멘트 혼합물을 활용하는 공법을 개발했다. 이 공법은 노후 시설물 표면에 철근 대신 격자 형상으로 제작한 탄소섬유 보강재를 거치한 뒤 고성능 시멘트 혼합물을 뿜칠하는 보강 공법으로 시멘트 혼합물이 접착제 역할을 대신한다.

탄소섬유와 시멘트 혼합물 모두 불연소재로 내화성능이 우수해 화재위험에 노출된 시설물 보강에 효과적이다. 젖은 구조물이나 동절기에도 시공이 가능해 누수가 발생해도 떨어지지 않는 등 기존 접착공법의 단점을 크게 보완했다. 또 탄소섬유는 철근처럼 부식하지 않기 때문에 제설제를 사용하는 도로시설물이나 염분에 노출되는 방파제와 같은 해양항만시설물 보강에도 효과적이다.

건설기술연구원이 개발한 보강공법으로 지하통로 구조물의 노후된 겉표면을 제거한 뒤 격자 형상으로 제작한 탄소섬유 보강재를 거치한 뒤 고성능 시멘트 혼합물을 뿜칠한다. 건설기술연구원 제공
건설기술연구원이 개발한 보강공법으로 지하통로 구조물의 노후된 겉표면을 제거한 뒤 격자 형상으로 제작한 탄소섬유 보강재를 거치한 뒤 고성능 시멘트 혼합물을 뿜칠한다. 건설기술연구원 제공
개발 공법의 성능 검증 결과, 구조물의 하중저항능력이 2배 향상됐다. 특히, 건설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한 시멘트 혼합물에는 제철소 용광로에서 제련할때 나오는 재, 즉 고로 슬래그 미분말이 50% 배합돼 있다. 단순 시멘트 혼합물에 비해 재료비는 50% 절감되고 내구수명은 3배 이상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개발된 공법은 주택과 같은 소형 시설물 보강시에는 인력시공이 가능하고 교량, 터널, 지하철과 같은 대형 시설물 보강시에는 기계화 시공이 가능하다. 또 시공속도를 기존 대비 2배 이상 끌어올릴 수 있다. 경제성 측면에서는 기존 탄소섬유 접착공법에 비해 약 45%의 시공비 절감이 가능하다.

한편, 개발된 공법은 얇은 판넬 형태로 건축용 외장재, 시설물 보강용 자재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판넬에 불연 단열재를 추가하면 화염에 취약한 자재들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성과는 지난 5월과 7월에 국제학술지인 '머티리얼즈'와 '콤포지트 스트럭처'에 각각 게재됐다.

한편,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노후시설물을 준공 후 30년을 기준으로 했을 때 우리가 매일 이용하는 교량, 터널, 지하철 등 사회기반시설의 37%는 노후시설물이고 20년 후에는 80%로 증가될 예정이다. 그러나 노후시설물은 예산부족 등의 이유로 일시에 교체할 수 없다. 때문에 수시로 유지보수를 실시해 성능을 유지해야 하고, 성능이 부족한 시설물은 성능개선공사를 실시하여 시설물의 사용수명을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 지하철 등 사회기반시설은 물론 우리가 거주하고 있는 주택, 아파트 등 주거시설의 90% 이상은 콘크리트로 시공돼 있다. 노후 콘크리트 시설물 보수를 위해 다양한 보강공법이 적용 중에 있다.

그중에서도 고강도 탄소섬유를 시트나 판넬형태로 접착 시공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탄소섬유를 활용한 기존 노후구조물 보강 공법은 구조물에 에폭시 수지 등 유기계 접착제를 활용하여 탄소섬유시트나 판넬을 부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유기계 접착제는 화재에 취약하고 지하구조물 등 표면이 젖은 구조물에 시공할 수 없으며, 시공 후 접착된 부위가 수분에 노출되는 경우 탄소섬유가 탈락하는 문제점이 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