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서초포럼

[여의나루] 한국판 뉴딜과 자율주행 경쟁력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8.27 18:05

수정 2020.08.27 20:17

[여의나루] 한국판 뉴딜과 자율주행 경쟁력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국가 전체가 다시 침체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하지만 이럴 때 더 부지런히 미래먹거리 찾는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최근 포스트 코로나 산업으로 자율차가 주목받고 있고, G2인 미국과 중국이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전기차 테슬라로 자동차 시장에 광풍을 일으키고 있는 일론 머스크는 최근 완전자율차를 내년에 출시하겠다는 깜짝 발표를 했다. 테슬라 주가 폭등이 이와 연관이 있다는 소문도 있다. 자동차 후발주자인 중국은 개인정보보호라는 장벽 없이 축적한 풍부한 데이터와 AI 기술력으로 자율차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고 있다.
자율주행 스타트업 오토엑스는 상하이에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택시를 부르면 '로보택시'가 손님을 모시러 오는 영업을 시작했고, 디디추싱 또한 올 6월 상하이에서 유사 서비스를 시작했다.

한편 2020년 우리의 자율주행기술은 세계 6위로 최고 수준에 빠르게 근접하고 있고, 특히 최근 자율차 상용화 시대를 열기 위한 정부쪽 움직임이 활발하다. 국토부가 주도한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은 올 5월부터 발효됐고, 세계 최초의 레벨3 부분자율차 안전기준에 따라 7월부터 자율차 판매도 가능해졌으며 관련 보험도 정비됐다. 작년 12월에는 독일에 이어 세계 2번째로 4단계 이상 자율차 개발의 기본지침이라 할 수 있는 윤리가이드라인 초안을 공개했고, 올 8월에는 관련해 공개토론회를 개최했으며 7월부터는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선정 작업에 착수했다. 내년에는 2027년까지 1조1000억원을 투자해 레벨4+ 이상의 고도 자율주행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사업도 시작된다.

자율차 시장 선점을 위한 글로벌 경쟁이 뜨겁지만 자동차 전문가들은 사람이 완전히 운전대에서 손을 놓을 정도의 고도 자율주행 기술은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한다. 자율차에는 자율주행을 위한 라이다, 카메라, 레이다 등 다양한 주변 인식 센서들이 부착돼 있지만 인식거리는 일반적으로 200m를 넘지 못한다. 이런 약점을 극복하고 고도의 자율주행을 위해서는 차세대지능형교통시스템(C-ITS)의 도움을 받아 주변을 운행 중인 다른 차량이나 인프라 또는 휴대폰 등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해야 하고, 또한 개인정보보호라는 장애도 넘어야 한다. 더 많은 정보가 주어질수록 자율주행 AI시스템은 스마트해져서 인간의 개입이 최소화될 수 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계획을 보면 레벨4 이상의 고도 자율주행 지원사업이 여럿 포함돼 있다. 첫째는 DNA(Data-Network-AI) 생태계 강화사업이다. 5G, IoT, 센서 및 로봇을 활용해 다양한 주변환경 데이터를 확보하고 동시에 익명화 기술을 통한 개인정보 활용 폭을 넓혀 더 똑똑한 자율주행을 가능케 한다. 둘째는 SOC 디지털화 사업이다. '디지털 트윈'을 통해 도로의 차선, 터널, 교량, 교통안전표지, 신호기 등을 3D로 표현한 정밀도로지도와 측위기술을 이용해 고도 자율주행을 지원한다. 셋째는 도시공간의 디지털 혁신사업이다. CCTV 통합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교통정보와 시설물 관리정보를 제공받으면 자율차는 더 빠르고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


윈스턴 처칠의 '좋은 위기를 낭비하지 말라'는 말이 생각난다. 미국은 구글과 테슬라를 중심으로 민간기업들이 전면에 나섰고, 중국은 국가가 나서서 5세대 이동통신, 빅데이터, AI 등 자율차 관련 인프라 확충에 예산을 쏟아붓고 규제를 대거 풀고 있다.
우리도 한국판 뉴딜을 통한 정부의 선도적 지원과 규제완화, 민간기업의 혁신역량을 결합해 신속하게 G2에 뒤지지 않는 자율주행 경쟁력 향상에 매진해야 미래를 기약할 수 있다.

황기연 홍익대 도시공학과 교수, 前 한국교통연구원장
box5097@fnnews.com 김충제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