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돈풀기 안먹히는 中企… 부실위험, 대기업 2배

연지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9.10 17:57

수정 2020.09.10 18:43

유동성 넘쳐나 대출 늘었지만
신용위험은 금융위기때보다 높아
소비 회복도 더뎌 지원책 '한계'
돈풀기 안먹히는 中企… 부실위험, 대기업 2배
코로나19 이후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하게 공급됐지만 대·중소기업 간 신용 불균형은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가 코로나19 이후 양적완화 정책을 통해 돈을 대거 풀지만 중소기업 등 부실 위험이 지속돼 연체율 상승 등 대출 위험에 노출되는 '신용위험 불균형'에 빠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국내 민간소비 회복은 과거에 비해 훨씬 더딜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중기 신용위험 심화


10일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결한 '2020년 9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이후 한국은행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와 정부의 기업자금 지원정책 등으로 금융기관의 기업신용 공급이 크게 늘어 통화증가율이 빠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중 예금취급기관(은행+비은행)의 기업신용은 125조2000억원 증가해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1년 12월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운전자금대출이 올해 상반기 무려 44조9000억원 증가해 2019년 중 분기 평균 13조7000억원 증가한 데 비해 증가 규모가 대폭 확대됐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각각 16조원, 10조7000억원씩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신용위험에는 차이가 있다는 우려다.

코로나19가 확산된 올해 1·4분기 대출 신용위험 변동폭을 0으로 기준했을 때 기준점(1·4분기) 이후 대기업 신용위험은 13으로 증가하지만 중소기업은 26으로 증가한다는 분석이다. 결국 금융기관의 기업 신용위험에 대한 경계감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확대됐다는 얘기다. 금융위기 시 부실 위험이 곧바로 회복된 데 비해 코로나 시기에는 불확실성으로 부실 위험이 지속된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금융상황 개선은 기준금리 인하, 유동성 확대 등 그간의 통화정책 완화가 금융시장으로 원활히 파급되고 있어 실물경제가 과도하게 위축되지 않도록 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며 "다만 비우량기업 및 중소기업 등에 대한 신용경계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 완화적 금융상황하에서 금융불균형 누적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고 있는 점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민간소비는 "장마 시작"


이와 별도로 한은은 코로나19 사태로 위축된 민간소비 회복이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간소비가 "코로나19 사태가 소나기인 줄 알았더니 긴 장마의 시작"이라던 이주열 한은 총재의 발언을 떠올리게 하는 대목이다.

외환위기가 발생한 지난 1997년 3·4분기와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3·4분기,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2019년 4·4분기를 각각 100으로 기준했을 때 민간소비는 외환위기 이후 100에서 99로, 금융위기에는 100에서 96.2로 위축됐지만 코로나 이후에는 100에서 93.5로 크게 위축됐다.
한은은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이어지면서 백신과 치료제 개발 등으로 보건상의 안전성이 입증되기 전까지 뚜렷하게 나아지기 어려울 것"이라며 "다만 정부의 소득 및 소비 지원정책과 소비위축에 따른 저축 증가 등은 향후 민간소비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