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은행

'혁신기업 마중물' IP담보 대출 급성장

이병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3.15 18:33

수정 2021.03.15 18:33

작년 1조 돌파… 2~3배 중가
회수기구 설립으로 활성화
1년 뒤 부실률 등 성과 확인
'혁신기업 마중물' IP담보 대출 급성장
은행이 지식재산(IP)을 담보로 차주에게 대출을 해주는 IP금융이 지난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시중은행들이 담당하는 IP담보 대출은 지난해 실적이 전년에 비해 2~3배 이상 늘었다.

■IP담보 대출 폭발적 성장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IP금융에 앞장선 5대 은행(신한, 우리, KB, 하나, IBK기업)의 2020년 12월 말 기준 IP담보 대출잔액은 1조1533억원으로 1조원을 넘어섰다.

1년 전 3714억원에 비해 7819억원 증가했다. 일부 은행은 같은 기간 700% 성장하기도 했다. IP담보 대출이 크게 증가한 신한, 우리, IBK기업은 2019년 잔액이 2309억원이었지만 지난해 말에는 9143억원으로 늘었다.
특허청에 따르면 IP대출액의 70%가량을 민간은행이 담당했다. 지난해 IP담보를 포함한 IP보증, IP투자 규모는 2조64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2018년까지 시중은행들의 IP담보 대출은 사실상 전무했다. 산업은행과 IBK기업은행 등 국책은행이 주도하면서 연간 대출실적은 1000억원대였다.

■코로나19와 제도적 뒷받침

이처럼 IP금융이 크게 증가한 것은 제도적 뒷받침과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이 맞물렸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와 특허청, 시중은행들이 지난 2019년 4월 IP금융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시중은행들은 '지식재산담보회수기구' 설립이 IP담보 대출을 폭발적으로 늘렸다고 평가한다. 지식재산담보회수기구는 지식대산 담보대출을 받은 기업에 부실이 발생하면 최대 50%의 금액으로 지식재산을 매입해 은행의 손실을 보전해주고 라이선싱, 매각을 통해 수익화하는 업무를 한다. 이 때문에 은행들은 IP담보를 정규 담보화했다. 그 이전에는 담보 실행이 안돼 담보로 가치가 없었던 것. 시중은행 관계자는 "IP담보를 처리할 수 있는 기관이 생기면서 IP가 재산으로 가치를 인정받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도 한몫했다. 지난해 2월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시중은행들은 중소기업 지원에 나섰다. 기존 부동산·동산 대출 외에 IP도 담보로 인정받으면서 기술력 있는 중소·혁신 기업들이 대거 신청을 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바이오 등 기술력은 있지만 담보가 부족한 기업들이 IP를 담보로 적극 활용했다"고 전했다.

■부실률 등 1년 뒤 성과 나와

IP담보 대출 등이 크게 증가하면서 IP금융 활성화라는 정책적 목표는 일단 성공했다. 다만 2022~2023년 유의미한 부실률이 잡히기 시작하면 본격적인 평가가 다시 이뤄질 전망이다. 2020년부터 시작된 IP담보 대출의 부실률을 확인하려면 최소 3년가량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현재 유동성이 풍부해 부실률은 제로에 가까운 상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보통 새로운 금융상품은 3년 정도 운용해야 성과를 알 수 있다"고 전했다. 또 현재는 기술을 보유한 혁신기업에 대출을 해주지만 스타트업 등 매출이 발생하지 않는 기업에는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대출을 하지 못한다.
건전성 관리 때문에 기술력이 좋다고 모험을 할 수 없다는 것. IP를 담보로 인정해주지만 매출 등 일부 조건도 들여다본다는 것이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