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은행

4월 가계대출 증가폭 꺾일듯… 우대금리 축소 약발 먹혔나

이병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4.15 17:52

수정 2021.04.15 17:52

대출금리 오르자 증가세 주춤
부동산 안정 기대, 주담대 줄어
2월 가계대출 3조7000억 증가
3월엔 2조원 중반대로 떨어져
정부, 이달 가계대출 관리방안
4월 가계대출 증가폭 꺾일듯… 우대금리 축소 약발 먹혔나
그간 금융당국의 온갖 억제책에도 꿈적 않던 가계대출이 올해 3월을 기점으로 증가폭 둔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4월 이후 가계대출 증가폭은 눈에 띄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초 시중은행들은 올 1월부터 가계대출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신용대출 한도를 낮추고 일부 대출 상품의 금리를 올렸지만 가계대출 증가세는 멈추지 않았다. 그러나 그융당국의 대출 조이기 기조 속에서 시중은행들이 3월부터 우대 금리를 없애는 방식으로 금리를 인상하면서 가계대출 증가폭이 둔화되기 시작했다. 이에 더해 정부가 4월에 '가계대출관리방안'까지 발표할 경우 가계대출 증가폭은 현저히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3월 가계대출 증가폭, 2조대로 하락...우대금리 축소 효과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5대은행(신한, 국민, 하나, 우리, 농협)의 올해 3월말 가계대출 잔액은 681조 6357억원으로, 지난해 12월 말 보다 11조 4818억원 증가했다.
이는 가계대출이 단순 비교시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세부 증가폭을 분석해보면 다른 결과가 나온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은 올해 2월 한 달간은 3조 7000억원이 증가했다. 이어 3월 한 달간은 3조 600억원 가량 늘었다. 즉, 가계대출 증가폭을 살펴보면 2월보다 3월에 둔화된 셈이다. 특히 3월 대출에서 농협은행의 집단대출 7200억원 증가분이 포함돼 있는 데, 이 부분이 전체 금액에 착시효과를 주고 있다. 농협은행의 집단대출은 1~3년전에 계약된 집단대출로서 새롭게 생긴 대출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빼면 3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2조원 중반대까지 떨어진다.

가계대출 증가폭이 3월을 기점으로 둔화된 것은 시중은행들이 본격적으로 대출을 조절했기 때문이다. 올 초부터 한도대출의 한도를 줄이면서 신용대출을 억제해왔던 시중은행들은 3월 초부터 우대금리를 없애는 방식으로 주택담보대출, 전세대출 금리를 소폭 올리면서 본격적으로 가계대출을 관리했다.

대표적으로 신한은행의 경우 올해 3월 초 모기지신용보험(MCI)·모기지신용보증(MCG) 대출을 중단하고 주택담보대출·전세대출의 우대 금리(0.2%P)를 축소했다. MCI는 주로 아파트, MCG는 다세대·연립 등에 적용되는 대출이다. 우리은행은 전세대출 우대금리 폭을 0.2%P 낮췄고, NH농협은행도 주담대 우대금리를 0.3%P 인하했다.

■4월에 가계대출 증가폭 둔화 정점 찍나

이런 추세라면 4월부터는 가계대출 증가폭이 더욱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신한, 국민, 우리은행은 14일 기준으로 가계대출 잔액이 301조원 규모다. 이는 지난달 31일보다 오히려 1조 9000억원 가량 줄어든 규모다. 시중은행 여신담당 관계자는 "최근 부동산 시장이 안정화되면서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대출 신청건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같은 기간 전세자금 대출 잔액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 다만 신용대출은 소폭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신한, 국민, 우리, 농협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116조원으로 3월 말보다 1조 500억원 가량 늘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공모주 청약, 가상화폐 투자 등으로 한도대출(마통) 잔액의 일시적인 증감은 있으나 지난해말부터 강화된 신용대출 규제 강화(한도축소, 우대금리축소) 등으로 증감세가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야심차게 준비중인 가계대출 관리 방안까지 발표될 경우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세는 정점을 찍을 가능성이 높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이달 안에 고액 신용대출 분할 상환, 청년층 장기 대출 등의 내용을 담은 가계대출 관리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