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뉴욕증시] 차익실현 매물·관망세에 혼조…나스닥 0.49%↑

서혜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6.08 07:40

수정 2021.06.08 07:40

(출처=뉴시스/NEWSIS) /사진=뉴시스
(출처=뉴시스/NEWSIS)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뉴욕증시는 고점 부담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과 투자자들의 관망세에 혼조세를 보였다.

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6.15포인트(0.36%) 하락한 3만4630.24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37포인트(0.08%) 떨어진 4226.52,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7.23포인트(0.49%) 오른 1만3881.72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이 경기전망, 공급체인 문제, 높은 밸류에이션 등으로 관망세를 보이면서 최근 주요 지수들이 힘을 받지 못하는 모습이다.

지난주 금요일 발표된 5월 고용보고서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 우려는 다소 줄어들었다.

다만 주가가 사상 최고치에 근접하면서 차익실현 압박도 커졌다.
여기에 오는 10일 발표되는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등을 앞두고 관망세가 이어졌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5월 CPI가 전년동월 대비 4.7% 오르고, 에너지와 식품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동월 대비 3.4%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이 지난 주말 한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금리가 오르더라도 이는 미국에 이로울 것"이라고 발언한 것이 주목받았다.

앞서 G7 재무장관들이 글로벌 최저 법인세율을 최소 15%로 정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도 나왔다. 이는 구글과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등 다국적 기업들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5월 고용추세지수(ETI)는 107.35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4월 기록한 104.31보다 개선된 것으로 팬데믹 이전인 109.27보다는 여전히 낮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9.4% 오른 것이다.

이날 밈 주식인 AMC 엔터테인먼트와 게임스톱의 주가는 각각 14%, 12% 이상 상승했다.
블랙베리 주가도 14%가량 올랐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지표가 좀 더 명확해질 때까지 시장은 현 수준에서 크게 움직이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시마 샤 프린스펄글로벌 어드바이저 수석 전략가는 "물가와 성장 전망에 대해 좀 더 분명해질 때까지 시장이 거의 정체 상태에 있을 것 같다"라며 "시장을 크게 끌어올릴 주요 동력이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