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2030 부산월드엑스포' 유치땐 200國 5050만명 부산 온다

노동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6.14 18:42

수정 2021.06.14 18:42

유치전 공들이는 박형준 시장
23일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과
프랑스 파리서 유치 신청서 제출
홍보 마케팅 예산 10억 편성
2030 부산월드엑스포 개최 예정 부지로 선정된 부산항 북항의 재개발 조감도. 부산시 제공
2030 부산월드엑스포 개최 예정 부지로 선정된 부산항 북항의 재개발 조감도.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국제관광도시로서 위상을 확고하게 다지고 한 차원 높은 수준으로의 지역경제 도약을 위해 야심차게 추진 중인 '2030 부산세계박람회(부산월드엑스포)' 유치 시계에 가속이 붙을 전망이다.

14일 부산시에 따르면 박형준 부산시장은 오는 23일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프랑스 파리에 있는 국제박람회기구(BIE)를 방문해 국무총리 명의의 2030 부산월드엑스포 공식 유치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부산시는 지난 11일 김영주 전 한국무역협회장을 2030 부산월드엑스포 민간유치위원장으로 선임하는 등 연일 유치전에 공을 들이고 있다.

2030 부산월드엑스포 유치가 갖는 의미는 한두가지가 아니다. 우선 국내에서 열리는 첫 '등록엑스포'로서 전 세계에 우리나라의 위상을 알리고 국가 브랜드를 높이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등록엑스포는 인류의 진보를 주제로 BIE에 등록되는 5년 주기의 대규모 박람회를 말한다.
등록엑스포 사이에 중규모 박람회로 '인정엑스포'가 열리기도 하는데 국내에서는 '1993 대전엑스포'와 '2012 여수엑스포'가 인정 엑스포로 개최돼 많은 경제유발효과를 거두며 성공사례로 기록된다.

등록엑스포는 개최 기간과 규모 면에서 인정엑스포와는 차원이 다른 만큼 생산, 부가가치, 고용 측면에서 엄청난 경제적 효과 창출이 기대된다. 2030 부산월드엑스포가 성사될 경우 6개월간 200개국에서 5050만명이 부산을 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통한 생산 유발 43조원, 부가가치 유발 18조원, 취업 유발 효과는 5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실제 중국의 경우 2010년 상하이월드엑스포를 유치하면서 중국에 진출한 35개 다국적 기업과 '상하이 클럽'을 조성하는 등 엑스포 사상 최초의 글로벌 스폰서십을 도입하면서 G2 반열에 진입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중국은 당시 상하이월드엑스포를 황푸강 종합개발계획과 연계해 추진했고 그 결과 푸시·푸둥 지역이 글로벌 경제중심지로 탈바꿈했다.

기업 입장에서도 엑스포를 발판 삼아 세계로 뻗어나간 사례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제너럴일렉트릭(GE)은 1878년 파리 엑스포에서 처음 에디슨의 전구와 축음기를 전시한 이후 매회 엑스포에 참가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코카콜라는 1893년 시카고 엑스포를 시작으로 이후 최초의 자판기를 선보이는 등 세계 일류 브랜드로 정착했다. GM은 1939년 뉴욕 엑스포에서 고속도로의 개념을 제시하며 자동차 대중화의 기반을 닦았다.

부산시가 2030 부산월드엑스포 유치에 속도를 내는 이유는 이뿐만이 아니다. 개최지 선정을 위한 BIE의 후속절차가 애초 계획보다 다소 앞당겨질 수 있다는 관측 때문이다. BIE는 엑스포 유치 희망 도시에 대해 2023년 상반기 현지 실사를 진행할 계획이었으나 2027년 인정엑스포를 신청한 도시가 없어 2030년 등록엑스포 개최지 선정을 위한 절차에 속도를 낼 수 있다고 시는 판단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정부는 BIE 조사단의 현지 실사에서 2030 부산월드엑스포가 열릴 북항 2단계 재개발 부지를 전면에 내세울 계획으로 현재 경쟁도시인 러시아 모스크바, 이탈리아 로마, 스페인 바르셀로나 등과 비교하면 바다와 도심이 맞닿은 북항이 충분히 소구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2030 부산월드엑스포를 통해 인공지능(AI), 차세대 모빌리티, 6세대(6G) 이동통신 등 혁신기술이 이끄는 초연결 미래사회의 모습을 구현할 계획이다. 나아가 부산국제영화제, 부산불꽃축제, 웹툰·게임·가상현실 등 부산 콘텐츠와 한류의 글로벌 확산 계기를 마련하고 동북아 해양수도의 이점을 활용해 부산에서 시작되는 한반도·동북아 평화의 해상문화교류 거점도시의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목표다.

관건은 북항재개발 사업의 순항과 더불어 유치를 열망하는 전 국민적 관심이다. 부산시는 기존 방식으로는 2030 부산월드엑스포에 대한 관심과 유치 열기를 확산하기 어렵다고 보고 시민 삶의 변화 등에 초점을 맞춘 혁신적 홍보전략을 새로 수립해 시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1차 추경 예산안에 2030 부산월드엑스포 통합 홍보 마케팅 예산 10억원을 편성하기도 했다.


정부와 함께 추진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범국가적 유치 추진체계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김 전 협회장이 이끄는 민간유치위원회와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맡는 정부유치지원위원회, 국회의원이 참여하는 국회유치특별위원회로 구성된 삼각편대가 정책·행정 측면에서 총력지원을 펼칠 계획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오는 11월 2030 부산월드엑스포의 주제와 박람회장 조성, 교통·숙박 대책 등을 담은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용역이 마무리되면 정부와 함께 우리나라 첫 등록엑스포 개최지로 부산이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defrost@fnnews.com 노동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