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문화일반

'세종의 꿈' 담긴 한글 금속활자 1600점 나왔다 [종로서 쏟아진 600년 전 유물]

조용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6.29 18:30

수정 2021.06.29 21:29

인사동 집터서 항아리에 담겨
1434년 '갑인자'로 확인땐
구텐베르크 인쇄시기보다 앞서
'세종의 꿈' 담긴 한글 금속활자 1600점 나왔다 [종로서 쏟아진 600년 전 유물]

'세종대왕의 꿈'이 담긴 한글 금속활자가 서울 종로 일대에서 무더기로 쏟아져 나왔다.

문화재청은 29일 "서울 인사동에서 조선 전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한글 금속활자 1600여점을 비롯해 세종시대 천문시계 등 다양한 금속유물이 무더기로 출토됐다"고 밝혔다. 유물이 나온 지점은 서울 종로2가 사거리와 탑골공원 서쪽으로 종로 뒤편에 있는 작은 골목인 피맛골과 인접한 지역이다.

문화재청이 이날 공개한 바에 따르면 이번 출토물에는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한글 금속활자 외에도 세종~중종 때 제작된 물시계의 주전(籌箭)을 비롯해 세종 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천문시계인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중종~선조 때 만들어진 총통류 등이 포함됐다. 이번 유물 출토와 관련해 학계에선 "조선의 인쇄사를 다시 써야 할 만큼 놀라운 발견"이라고 반색했다.

29일 문화재청이 일반에 공개한 조선 전기 한글 금속활자 / 사진=뉴스1
29일 문화재청이 일반에 공개한 조선 전기 한글 금속활자 / 사진=뉴스1
이번에 공개된 금속활자 중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표기가 반영된 '가장 이른 시기의 한글 금속활자'다.
15세기에 한정해 사용했던 한글인 'ㅱ, ㅸ, ㆆ, ㆅ' 등의 활자들이 나왔다.

조선 금속활자인 세조 '을해자'(1455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보다 20년 이른 세종 '갑인자'(1434년)로 추정되는 활자가 다량 확인된 점은 유례없는 성과라는 평가다. 이들 활자가 추후 연구를 통해 '갑인자'로 확인되면 조선시대 금속활자로서 각종 사료 및 기록과 일치하는 중요한 실물자료가 된다. 구텐베르크의 인쇄시기(1450년쯤)보다 이른 시기의 조선활자 관련 유물은 인쇄본으로만 전해졌지만 처음으로 인쇄본과 금속활자를 동시에 확보하게 되는 셈이다.

금속활자와 함께 세종~중종 때 제작된 자동 물시계의 주전으로 보이는 동제품들도 잘게 잘린 상태로 출토됐다. 이들 출토물에는 여러 개의 원형 구멍과 '일전(一箭)'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고 문화재청은 밝혔다. 조선시대 주전은 그동안 실체가 전해진 것이 없었으나 이번에 최초로 관련 유물이 발견되면서 현재 복원된 자격루(물시계)와 옥루의 보완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29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서울 인사동 유적에서 출토된 동종 등 금속유물이 공개되고 있다. / 사진=뉴시스
29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서울 인사동 유적에서 출토된 동종 등 금속유물이 공개되고 있다. / 사진=뉴시스
한편 금속활자가 담겼던 항아리 옆에서는 주야간의 천문시계인 일성정시의가 출토됐다. 일성정시의는 낮에는 해시계로 사용되고, 밤에는 별자리를 이용해 시간을 가늠하는 독특한 형태의 시계다. 세종실록에 따르면 1437년(세종 19년) 세종은 4개의 일성정시의를 만든 것으로 기록됐다. 이번 발굴에서 나온 3개의 환은 일성정시의의 주요부품인 주천도분환, 일구백각환, 성구백각환으로 파악됐다. 출토된 유물은 지금까지 기록으로만 전해졌던 일성정시의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근거자료로 세종 연간에 제작된 천문의기 복원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학계는 기대하고 있다.

소형화기인 승자총통, 소승자총통 등 총통 8점도 이번에 함께 발굴됐다.
복원된 크기는 대략 50~60㎝ 크기로, 총통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계미년 승자총통(1583년)과 만력 무자년 소승자총통(1588년)으로 문화재청은 추정했다.

일성정시의 아랫부분에서 작은 파편들과 함께 출토된 동종도 주목된다.
15세기 제작된 왕실발원 동종의 양식을 계승한 이 유물에는 두 마리 용 형상을 한 용뉴(범종 윗부분의 고리)도 포함됐는데, 종신 상단에 '가정십사년을미사월일(嘉靖十四年乙未四月日)'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1535년(중종 30년) 4월에 제작된 것으로 파악된다.

yccho@fnnews.com 조용철 박지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