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한

김정은, 김일성 사망 27주기 금수산궁전 참배.. 리병철 실각

김나경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7.08 09:49

수정 2021.07.08 09:49

'신변이상설' 김정은, 공개 행보로 '건재' 확인
7.8 김일성 사망 27주기 금수산궁전 참배
'김정은 맞담배' 리병철, 상무위원 실각 확인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좌로부터 두번째)가 조용원 조직비서,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덕훈 내각 총리 등 정치국 상무위원들(앞줄) 및 기타 고위간부들과 함께 김일성 사망 27주기를 맞아 8일 0시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다고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출처=노동신문, 뉴시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좌로부터 두번째)가 조용원 조직비서,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덕훈 내각 총리 등 정치국 상무위원들(앞줄) 및 기타 고위간부들과 함께 김일성 사망 27주기를 맞아 8일 0시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다고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출처=노동신문,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7월 8일 김일성 전 주석 사망 27주기를 맞아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다. 김 위원장을 둘러싸고 각종 신변이상설이 불거졌던 가운데 공개 행보를 통해 '건재함'이 확인됐다.

리병철 정치국 상무위원 겸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은 실각이 확실해졌다. 북한 권력구도에 지각변동이 생긴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지만 다른 상무위원 3명은 자리를 지킨 것으로 파악된다.


8일 북한 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정치국 주요 인사들과 금수산궁전을 참배했다. 신문은 "경애하는 총비서 동지께서 참가자들과 함께 위대한 수령님과 위대한 장군님의 입상을 우러러 숭고한 경의를 표시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신문은 "(김 위원장이) 심오한 사상이론과 비범한 영도력, 거창한 혁명실천으로 조국과 인민, 시대와 혁명 앞에 영구불멸할 업적을 쌓아 올린 위대한 수령님과 위대한 장군님께 삼가 영생축원의 인사를 드렸다"고 했다.

7월 8일은 김일성 전 주석 사망일로 북한 최고지도자는 정치국 주요 인사들과 매년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해왔다. 여기에는 김일성 전 주석, 김정일 전 국방위원의 시신이 안치돼 있다.

김 위원장 동향이 관영매체를 통해 공개되면서 신변이상설은 잠잠해질 것으로 보인다. 일부 매체들은 김 위원장 건강이상설, 쿠데타설 등을 제기하며 북한 내부에 이상 징후가 있다고 전한 바 있다. 이에 7일 국가정보원은 "김정은 신변이상설과 관련해 근거없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6월 29일 당 정치국 확대회의를 종일 주재했고 최근까지 정상적으로 통치활동을 하는 것으로 파악한다"고 설명했다.

리병철 정치국 상무위원 겸 군사위 부위원장은 해임된 것이 분명해졌다. 리 상무위원은 다른 상무위원과 달리 세 번째 줄에 있는 것으로 파악돼 실각이 확실시된다. 김일성 사망일 금수산궁전 참배 보도는 조직 변동을 알 수 있는 주요 단서다. 통일부 당국자는 6일 기자들과 만나 "김일성 사망 추모일에 북한 매체는 김 위원장이 당·정·군 간부들과 금수산궁전 참배하는 모습을 보도해왔다"며 "정치국 상무위원 등은 여기에 참가해왔기 때문에 이를 통해 주요 인사들의 신상 변동을 추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치국 상무위원은 김정은 위원장 포함 최룡해, 조용원, 리병철, 김덕훈 등 5인으로 구성돼 있다. 최근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김덕훈 내각총리는 각각 상임위원회 집행, 현지 활동한 행보가 보도돼 건재함이 확인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6일 "조용원 비서는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비판·토론하는 모습이 나와 신상 변동 가능성이 낮다"고 설명한 바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AP, 뉴시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AP, 뉴시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