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기업

루머로 그친 삼성·LG 이란 재진출설…현지선 "배신자" 비난도

장민권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9.09 19:14

수정 2021.09.09 19:44

이란 정부 측 "韓 기업 복귀 소문 잘못돼"
美 제재 지속에 삼성·LG 독자 진출 사실상 불가
이란 의회는 "배신자" 비난 속 복귀 불가 주장도
세예드 압바스 무사비 이란 외무부 대변인이 지난해 2월 자신의 트위터에 삼성전자 매장의 간판이 철거되는 사진을 올리며 "미국의 제재에 가담해 이란을 떠난 나라의 기업이 다시 이란에 진입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
세예드 압바스 무사비 이란 외무부 대변인이 지난해 2월 자신의 트위터에 삼성전자 매장의 간판이 철거되는 사진을 올리며 "미국의 제재에 가담해 이란을 떠난 나라의 기업이 다시 이란에 진입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

[파이낸셜뉴스] 이란 정부가 삼성전자·LG전자 등 이란에서 철수한 한국 가전업체들의 재진출 가능성을 부인했다. 2018년부터 계속되고 있는 미국의 대이란 경제 제재가 해제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의 이란 진출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삼성·LG의 재진출설은 단순한 루머로 끝난 모양새다. 그러나 삼성·LG의 재진출설을 계기로 이란 내 높아진 '반삼성·반LG' 기류를 확인한 만큼 향후 미 제재 해제 이후 우리 기업들의 현지 재진출을 위해선 이란과의 악화된 관계 회복이 최우선 과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9일 산업계 및 외신 보도에 따르면 케이반 고르단 이란 산업광물통상부 국장은 지난 8일(현지시간) "한국 기업의 복귀 소문은 근본적으로 잘못된 것"이라면서 "이란산 제품 생산을 늘려 가격을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최근 이란 내 물가 상승세로 가전제품 가격이 오르면서 제기된 삼성·LG의 이란 재진출 여지에 선을 그은 것이다. 한국 내 이란의 동결자금을 활용해 삼성·LG의 가전제품을 수입할 것이란 소문도 부인했다. 이같은 루머는 지난 6월 호세인 탄하이 이란·한국 상공회의소 회장의 "한국의 공산품·전자제품·생산기계·기술장비 등을 수입하는 데 있어서 동결 자금을 활용할 수 있다"는 발언이 불을 지핀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지난 2018년 핵합의 결렬 이후 이란에 경제 제재를 가한 뒤 우리 기업에도 동참을 압박한 끝에 삼성·LG는 이란에서 철수했다. 기업이 수익성을 고려해 내린 사업적 판단이라기보다 정치·외교적 요인이 컸다는 점에서 해당 소문의 현실성은 극히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삼성·LG는 이란 내 기업 활동을 전면 중단하고 있으며, 미국의 제재가 풀리기 전까지 재진출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다.

다만, 삼성·LG의 재진출설을 기점으로 현지에서 우리 기업을 향한 적대적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어 향후 현지 시장 재진출 과정에서 이란과의 관계 회복에 난항도 예상된다.

이란 매체 '프론트 페이지'에 따르면 현지 가전업체에서 근무하는 수만명의 이란인들이 삼성·LG 등 해외 제품의 수입을 금지하는 탄원서에 서명했다.
이란 의회에서는 한국 기업들을 '배신자'라고 맹비난하며, 한국 내 이란 자금이 동결된 상황에서 삼성·LG의 이란 시장 재진출을 쉽게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나왔다. 미국으로부터 경제 제재를 받아 어려운 상황에 놓인 이란을 우리 기업들이 저버리고 떠났다는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이란에 대한 제재가 풀려야만 우리 기업들이 사업 재개를 검토할 수 있다"면서 "기업에게는 재진출이라는 선택지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fnSurvey